•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어 정보와 얼굴 표정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 3세 아동은 어떤 정보에 주목하여 타인의 정서를 판단할까?: 점화 과제 연구 (Three-Year-Old Children Focus on Emotional Adjectives When Linguistic Context and Facial Expression were Not Congruent: The Priming Task Research)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7.03
20P 미리보기
언어 정보와 얼굴 표정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 3세 아동은 어떤 정보에 주목하여 타인의 정서를 판단할까?: 점화 과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서·행동장애연구 / 33권 / 1호 / 51 ~ 70페이지
    · 저자명 : 박윤희, Itakura Shoji

    초록

    본 연구는 타인의 표정을 인식할 때 함께 제공되는 언어 정보가 정서 인식에 영향을 주는 현상이 관찰되는 연령의 하한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 정보와 얼굴 표정을 순차적으로 제시하는 점화 과제를 실시하여 언어 정보에 따른 아동의 정서 인식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언어장애나 정서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경험이 없는 3세 0개월에서 3세 11개월 사이의 아동이었다. 점화과제에서 참가자에게 형용사(예-기뻐요, 슬퍼요)나 정서 상황(예-생일 선물을 받다, 키우던 강아지를 잃어버렸다)에 대한 언어 정보를 청각적으로 제시한 후, 5세 아동의 기쁨 또는 슬픔 표정 사진을 제시하여 사진 속 주인공의 정서를 판단하도록 요청하였다. 언어 정보는 형용사만 제시되는 단순한 언어 정보 조건(예-기뻐요), 정서와 관련성이 높은 상황 정보가 제시되는 구체적 언어 정보 조건(예-생일 선물을 받아서 기뻐요), 정서와 관련성이 낮은 상황 정보가 제시되는 애매한 언어 정보 조건(예-문을 열어서 기뻐요)으로 구성되었으며, 참가자들은 세 가지 조건 중 한 가지 조건에 무선 배정되었다. 모든 참가자들은 언어 정보와 표정의 정서가 일치하는 시행과 불일치하는 시행에서 사진 속 주인공의 정서를 판단하였고, 주인공의 얼굴 표정에 따라 정서를 판단하였을 경우 정답으로, 언어 정보에 따라 정서를 판단하였을 경우 오답으로 처리하여 각 집단 별 점화 과제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언어 정보 집단에서 언어 정보와 얼굴 표정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 점화 과제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3세 아동이 다양한 상황 간의 정서적 의미의 강도를 비교하는 것을 어려워하지만, 언어적으로 제시된 상황 정보와 얼굴 표정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 얼굴 표정보다는 언어적으로 제시된 형용사로 타인의 정서 상태를 추론함을 보여 준다. 또한, 적어도 생후 3년 이후에서 타인의 정서 인식에 대한 언어 정보의 영향이 관찰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언어 정보의 구조의 특성, 연령에 따른 정서의 원인에 대한 이해 발달 차이, 3세 아동의 형용사 이해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정서 및 언어 발달 장애 연구에의 응용에 대해 논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whether three-year-old children in normal emo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more focus on linguistic contexts about emotional situations than facial expressions to judge the other’s emotions, expecially when emotions of the situation and the facial expression are not congruent. Using priming task paradigm, a linguistic context sentence was acoustically presented as primer stimulus, after that, a happy face or a sad face was immediately presented on the monitor as target stimulus. There were three linguistic information groups: a) Simple information(SI)-emotional adjectives, b) Elaborative information(EI)- emotional adjectives with situa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adjectives, c) Ambiguous information(AI)-emotional adjectives with situational information not related to the adjectives. Participants asked to judge the emotional states of protagonists of facial expressions. The priming task score was calculated and compared among groups. As a result, all group’s task score were decreased when emotions of the situation and the facial expression are not congruent. Three-year-old children may struggle to compare emotional intensity of elaborative context and that of ambiguous context. However, sentences of all linguistic context contained emotional adjectives, happy and sad. Hence, it seems that three-year-old children focus on and use the adjectives to infer the other’s emotional state when emotions of the situation and the facial expression are incongruent. In discussion, we discussed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in terms of three perspectives: structural feature of the linguistic information, developmental difference on understanding of reason for emotion, and easiness to use emotional adjectives to infer other’s emotional state in three-year-old children. Finally, we suggested that this study could applicate to future investigation to explore how children with emotional and language impairment perceive and recognize the interaction between language and emotion in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서·행동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