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항만지역 미세먼지 규제에 관한 연구 - 항만지역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Particulate Matter in Port Area - Focused on the Special Act on the Improvement of Air Quality in Port and Other Areas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0.03
30P 미리보기
항만지역 미세먼지 규제에 관한 연구 - 항만지역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3권 / 1호 / 221 ~ 250페이지
    · 저자명 : 최영진, 류동훈, 김민철

    초록

    UNCLOS는 대기로 인한 오염을 하나의 해양 오염원으로 취급하고 있다. 또한 제212조 1항에서는 국가들은 대기로 부터 혹은 대기를 통한 해양오염을 예방, 감소, 통제하기 위하여 자국 관할권 하에 속하는 대기권 상공 및 자국 국기를 게양하거나 자국에 등록된 선박이나 항공기에 적용되는 국내 법규를 제정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때 동조 제2항 및 제3항에 따라 국제적으로 합의된 규칙, 기준이나 비행의 안전 등을 고려하여야 하는데, 국가들은 국제기구나 외교회의를 통하여 이러한 규칙들을 제정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특히 선박 배출 대기오염이 문제시되는 것은 육상에서 사용되지 않는 저질연료가 선박에서 사용되며, 항만구역과 내해 등 주거지역에 가까운 해역에서는 선박이 대기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항만대기질법은 부산과 인천과 같은 항만도시의 미세먼지 농도가 내륙지역 만큼이나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하지만, 그 원인은 내륙지역과 달리 주요 비도로오염원인 선박의 규제를 위해 제정된 법률이다. 기존에 선박을 관리하던 근거법률인 대기환경보전법 및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해양환경관리법들은 육상대도시 중심으로 미세먼지 대책이 수립되고 있어 항만지역은 정책 우선순위에서 소외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이러한 상황에서 ‘항만지역등의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합적인 시책을 추진하고, 항만배출원(港灣排出原)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항만지역등 및 인근 지역 주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항만대기질법과 같이 오염원에 특정한 법안은 일반적인 미세먼지 특별법보다 특정 입법목적을 위한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특별법의 기본법이 각기 상이하므로 의원입법보다 정부입법의 형태로 정부의 정책 설계와 함께 준비하여 입법화하는 형태가 법적 안정성차원에서 더욱 나을 것이다. 또한 법률에 비산먼지를 규제하고 있기는 하나 이것 또한 포괄적인 규정이고 구체적인 규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추후 또 다른 부칙이 필요하다. 또한 선박을 비롯한 항만지역 미세먼지 규제의 항만국 통제를 내용으로 하는 해양환경관리법 제59조 1항의 개정에 관한 사항, 선박 소유주에게 인정되는 이의신청 제도 개선의 필요성, 점진적 규제 확대에 대한 순응 확보의 수단으로 선박 분류 기준에 따른 순차적 규제 제도의 마련이 필요하다. 예상할 수 있는 항만지역 등 대기질 오염으로 인한 최악의 경우를 상정하고 이를 회피할 수 있는 조치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는 이 문제가 인명문제로 귀결된다는 사고의 전환과 합리적인 제도의 마련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UNCLOS Article 194(3)(b) pollution from vessels, in particular measures for preventing accidents and dealing with emergencies, ensuring the safety of operations at sea, preventing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discharges, and regulating the design,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and manning of vessels. Public concerns about the particulate matter from the port area have recently increased in Korea, but the revision of the law is necessary. In order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institutional system to cope with particulate matter, the legal basis should be established so as to take binding measures for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Based on this recognition, in this paper, I trie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current law on particulate matter regulation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lean air conservation legal system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foreign legislation.
    Special Act on the Improvement of Air Quality in Port and Other Areas, legislation specific to pollutants can expect greater effect for specific legislative purposes than other general Special Acts on Particulate Matters. However, since the basic laws of the special law differ, it would be better to prepare and legislate them together with the government's policy design in the form of government legislation than to legislate them in the form. In addition, although the law regulates scattering dust, it is also a comprehensive regulation and does not include specific regulations, which necessitates another addition in the future.
    In addition, matters concerning the revision of Article 59 para 1 of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which calls for control of port countries by Particular Matters regulations in ships and other port areas, the system of objection to be recognized by ship owners, and the system of sequential regulation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ship classification should be prepared as a means of securing compliance with the gradual expansion of regulations. In order to prescribe the worst possible case of possible Particular Matters pollution and to give justification to measures that can be avoided, it is necessary to remind the idea that the problem of fine dust will result in a matter of life and death, and prepare for a reasonabl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