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면암 최익현의 국제관계 인식 연구 - 지부복궐척화의소 등 상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oi Ikhyun's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 Focusing On Choi's Sangso -)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6.03
47P 미리보기
면암 최익현의 국제관계 인식 연구 - 지부복궐척화의소 등 상소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5권 / 1호 / 179 ~ 225페이지
    · 저자명 : 방용식

    초록

    최익현은 조선이 체제의 유지‧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능력이 와해되던 19세기와 20세기를 살았던 인물이다. 그는 체제적[내부적], 민족적[외부적] 위기에 노출된 조선과 그 인민이 위기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안을 의욕적으로 표출했다. 그는 상소를 통해 위기극복 방안을 지속적으로 제시했고, 위기가 극에 달했을 때는 최종적인 수단으로써 의병을 일으켰다. 최익현의 이러한 행동은 조선을 조선답게 하는 가치로서의 중화문명[조선중화주의]을 지키려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그 방법은 다름 아닌 위정척사였다. 그는 국가적 위기에 노출된 공동체를 수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던 지식인의 표본이었다.
    그러나 조선이 일본 식민지가 되면서 최익현이 주창했던 위정척사 사상은 왜곡됐고, 폄훼됐다. 일제는 위정척사 지식인들의 개항반대를 꽉 막힌 국제정세 이해 탓으로 돌렸다. 그들이 개항을 반대함으로써 조선은 근대화에 실패했고,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했다고 자신들의 침략을 합리화했다. 이런 인식은 해방을 거쳐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최익현의 개항반대는 제국주의화한 일본과 수교했을 때 빚어질 침략을 예견했던 것이며, 그 침략을 반대한 것이었다.
    본고는 최익현이 개항을 반대한 이유가 단순히 화이관 또는 조선중화주의에서 비롯하지 않았음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최익현이 일본과의 수교를 반대하며 올린 ‘지부복궐척화의소’ 등 상소문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최익현의 국제관계에 대한 이해[인식]와 함께 위기극복을 위한 방안[처방]을 분석했다. 필자는 이 논문이 최익현의 사상과 행동 이해의 폭을 확충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Choi Ikhyun lived from 19th to 20th century. It was the era that Joseon dynastywas not able to sustain its system. Choi consistently expressed in the way that Joseon and its people could overcome a crisis exposed by national identity and social instability. The idea proposed by Choi was ambivalent. On the one hand, he suggested to use ‘Sangso’[a politically official letter]. On the other hand, he recruited Uibyoung[a righteous army]. All these actions came from Choi’s royalty to the sino-centrism and the independence of Joseon. In this vein, Choi reemphasized a ‘Wijeong-cheoksa’[the thought that protect orthodoxy and reject heterodoxy]. Choi was the representative of intellectuals who try to maintain their community.
    After Joseon was colonized by Japan, they appropriated Wijeong-chuksa as they want. Japan attributed the anti-movement of opening ports by the Wijeong-chucksa intellectuals to ignorance on international relationship. Based on these appropriated arguments did Japan rationalize their colonization, because Joseon had failed in modernization. This negative conception has continued nowadays. However, Choi originally intended to protect Joseon from Japan’s hidden strategy of invading Joseon in the name of a opening port and enlightenment.
    This article endeavors to prove Choi’s opposition to Japan did not derive from‘Hwaigwan’[the discriminated view on civilization and barbarian] and Joseon sino-centrism. To re-illuminate Choi’s idea and act, this writer scrutinized some Choi’s Sangso which by expressed his understanding on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his way of solution for overcoming the cri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