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인 등 디지털 소외계층에 대한 계약법적 보호 (Contractual Protection for Digitally Marginalized Groups, Including the Elderl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4.12
30P 미리보기
노인 등 디지털 소외계층에 대한 계약법적 보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민사법학 / 109권 / 385 ~ 414페이지
    · 저자명 : 윤태영, 류주현

    초록

    지능화된 서비스는 새로운 지식 창출과 이를 통한 새로운 기회 제공 등 긍정적인 기능이 많고, 지능정보사회에서의 필수 불가결한 모습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디지털 격차로 인해 고령자, 장애인, 디지털 문맹자 등의 정보 불평등 및 소외 문제가 더욱 심화되는 부작용도 발생한다. 예컨대 대한민국에서 고령층의 모바일 스마트폰 보유율(91.0%)은 일반 국민의 스마트폰 보유율(96.1%)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디지털기기를 제대로 사용할 줄 아는 디지털 역량수준에 있어 고령자는 일반 국민에 비해 55%에 그치는 등 매우 낮은 수준이다.
    지능정보사회에서 판단력, 정보 수집 능력, 디지털기기 활용 능력에 있어 취약한 상황에 놓인 사람들도 실질적인 계약 주체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우리 정부도 이러한 점을 심각하게 받아들여 디지털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에 중점을 두는 한편, 「지능정보화 기본법」 등의 개정을 통해 법제도적으로도 접근성을 강화하는 방향을 모색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은 기업들의 노력 의무나 임의규정 등으로 규율하면서, 키오스크 설치 시 직원 배치 등 당장 직면한 문제에 근시안적으로 대응하는 데에 초점을 둔 감이 없지 않다.
    이에 비해 UN, EU 등 국제적으로는 디지털 소외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왔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에서는 단순히 과도기적으로 키오스크에 대한 설명 보조 인력을 두는 것과 같은 의무화 규정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이 가이드라인은 제조자, 유통자 등을 포함한 모든 사업자가 취약계층의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취해야 할 조치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가며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글에서는 우선 자체적으로 조사한 실태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디지털 소외계층이 어떻게 접근성을 보장받기 원하는지 니즈(needs)를 분석하고 우리 법제도가 이러한 니즈에 부합하는지,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나아가 ‘EU 접근성법’과 ‘ISO 22458’을 분석하여 국제적으로 이를 법제도화하는데 어떠한 원리에 따르고 있는지 살펴보고 국내 법제도를 마련하는데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Intelligent services offer many positive functions, such as the creation of new knowledge and the provision of new opportunities, and are an indispensable aspect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However, the digital divide exacerbates issues of information inequality and marginalization for groups such as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digital illiterates. For instance, in South Korea, the smartphone ownership rate among the elderly (91.0%)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population (96.1%). However, when it comes to digital competency—such as the ability to use digital devices properly—the elderly exhibit much lower proficiency, with their digital skills reaching only 55% of the general population's level.
    Korea is getting through transition to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longside serious aging issues, and it is crucial to establish an environment that ensures substantial contractual autonomy for individuals who are vulnerable in terms of judgment, information-gathering abilities, and the use of digital devices.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ognized this issue and has focused on providing education to digitally marginalized groups, while also seeking to enhance accessibility through legal and institutional means, such as revising the “Basic Act on Intelligence Information.” However, many of these remain as corporate efforts or are regulated as optional provisions, while shortsightedly responding to immediate problems such as deploying staff when installing kiosks.
    In contras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ke the UN and the EU have developed concrete guidelines to protect digitally vulnerable groups. These guidelines go beyond temporarily mandating support personnel for kiosk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y offering specific standards and examples of actions which manufacturers, distributors, and other stakeholders should take to enhance accessibility for vulnerable groups.
    This article first analyzes the needs of digitally marginalized groups, based on our own survey results, to understand how they want their accessibility to be ensured, and examines whether South Korea's legal system aligns with these needs and identifies any issues. Furthermore, the “EU Accessibility Directive” and “ISO 22458” are analyzed to explore the principles behind their international institutionalization, and implications for Korean legislation are propo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