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업손익의 공시 등에 관한 연구 (The Improvement of Disclosure of Operating Incom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2.08
39P 미리보기
영업손익의 공시 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회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회계저널 / 21권 / 4호 / 185 ~ 223페이지
    · 저자명 : 김문철, 전영순

    초록

    영업손익은 기업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가장 핵심정보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과거의 우리나라 회계기준(이하 ‘K-GAAP’)에서는 손익계산서상 영업손익의 구분 표시를 의무화하였다. 그러나 국제회계기준(이하 ‘IFRS’)에서는 영업손익에 대한 개념자체가 없으며 영업손익의 구분 표시도 요구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초기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K-IFRS’)은 영업손익의 공시를 의무화하지 않았는데, 그 결과 K-IFRS를 조기 도입한 일부기업은 영업손익 자체를 공시하지 않았으며 영업손익을 공시한 기업 간에도 기업마다 상이한 영업손익 공시가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한국회계기준원은 2010년 11월 K-IFRS를 개정하여 영업손익의 공시를 의무화하였다. 그러나 개정된 K-IFRS에서도 영업손익의 정의나 구성 항목을 규정하지 않아 기업마다 상이하게 영업손익을 산정하였으며 이로 인해 재무정보의 비교가능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업손익의 정의 및 그 구성항목에 대한 지침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영업손익 공시에 관한 개선방향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영업손익 공시와 관련된 국내․외 실무동향 및 학술연구를 검토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영업손익에 대한 재무제표 이용자들의 정보요구를 파악하며, 설문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영업손익을 정의한 후 이들 영업손익의 주가관련성을 비교분석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국제회계기준을 비롯하여 외국의 회계기준에서는 영업손익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많은 국가들이 회사법이나 거래소 상장규정을 통해 영업손익의 별도 표시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정보이용자와 회계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대다수가 영업손익 정보의 유용성에 대해서 공감하였으나 현행 K-IFRS 영업손익 공시규정의 충분성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또한, 응답자들은 과거 K-GAAP에서 정의한 영업손익을 가장 선호하였으나 광의의 영업손익도 중요 정보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손익의 주가관련성 분석에서도 K-GAAP에서 정의한 영업이익의 주가관련성과 기타 영업활동관련 손익을 포함한 광의의 영업손익의 주가관련성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설문조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영업손익의 정의나 예시를 규정화하는 것에 대해 높은 지지를 보였으며, 영업손익을 포괄손익계산서 본문에 표시하는 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손익항목의 활동별 분류와 관련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동일 항목에 대해 이견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본 연구는 영업활동 및 영업손익의 정의를 제시하고, 영업손익의 정의나 그 범위를 규정화하는 방법 및 개별손익항목의 활동별 분류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e result of operating activities is core information to assess firm performance and therefore the Korean GAAP required firms to present 'operating income,' defined as gross profits minus selling and administrative expenses, as a separate line item in the income statement. On the other hand,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neither provide the definition of operating activities nor require a separate disclosure of the result of operating activities. When first introduced, the Korean-adopted IFRS (K-IFRS) did not require the separate disclosure of operating income in order to fully follow IFRS. As a result, some of the early adopters of K-IFRS did not disclose operating income. Even among firms that disclosed operating income, the items constituting operating income varied across firms, which in turn hamper comparability of financial information across preparers. In order to facilitate more consistent financial reporting across preparers, the Korea Accounting Standard Board (KASB) revised K-IFRS in 2010 to require firms to disclose operating income. However, since the KASB provides no guidance on what to include in operating income, there are still great variations as to what constitutes operating income. Henc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a need for guidance to clarify items to be included in operating income, and makes suggestions regarding how to improve disclosure of operating income. Specifically, we review the practice of and academic research on operating income disclosures, conduct a survey to identify financial statement users' needs for operating income, and conduct empirical analysis for informativeness of various definitions of operating income.
    The results reveal that in general accounting standards of other countries do not require the separate disclosure of operating income. Nevertheless, many countries require the disclosure of operating income by the Company Act or by the stock exchange listing rules. The survey of financial statement users reveals that while the survey participants agree on importance of operating income information, they display reservation as to whether the K-IFRS requirement is sufficient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f operating income. Although the survey participants prefer operating income defined by K-GAAP the most among alternative definitions of operating income, they also recognize importance of operating income that is extended to include other income/loss from operating activities. Furthermore, the survey respondents support the presentation of operating income in the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rather than in the notes to financial statements. Operating income defined by K-GAAP and operating income that is extended to include other income/loss from operating activities are equally informative to stock returns, indicating that investors recognize the extended definition of operating income as important as K-GAAP operating income.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vide definitions of operating activities and operating income, and make suggestions as to how to issue regulatory guidance and how to classify income statement items by activ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회계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