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反공간들의 혼종 -헤테로토피아, 평양과 특구- (The Hybrid of Anti-Spaces -Heterotopia, Pyongyang, and Special Economic Zone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2.12
42P 미리보기
反공간들의 혼종 -헤테로토피아, 평양과 특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북한학연구 / 18권 / 2호 / 191 ~ 232페이지
    · 저자명 : 차문석

    초록

    본 논문은 미셸 푸코(M.Foucault)의 헤테로토피아와 反공간 개념을 북한 사회를 분석하는 데 적용하면서 북한 사회를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드러내고자 한다. 이른바 ‘공간적 전환’(spatial turn)을 통해 본 연구는 북한의 평양과 특구가 헤테로토피아이자 反공간임을 규명하고 이질적인 공간들이 공존하는 북한에 실재하는 혼종적인 면모를 드러내고 정리하였다. 종국적으로는 ‘혼종 사회’로서의 북한이 좀 더 명확하게 그 모습을 나타내도록 하였다.헤테로토피아와 反공간 개념을 통해서 분석된 북한 사회는 사실상 혼종성을 가진 혼종적 존재이다. 평양과 특구는 북한의 일반 사회에 대한 反공간임과 동시에 서로의 反공간이다. 그리고 서로에 대해 맞서지만 전체적으로는 혼종을 구성해 낸다. 평양과 특구를 통해서 그 공간들 자체가 사실은 권력의 효과이며 지식이며, 권력의 담론이자 실천일 수 있다는 점도 인식하게 된다. 이들 공간 모두는 북한의 혼종성을 상징하는 공간이면서 제국주의와 적들과 싸워 건설했다는 역사적 시간의 응축물,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지향과 하지만 그 지향이 反공간에 의해 막힌 곳, 그럼으로써 현재가 유지되는 특수한 공간, 즉 헤테로토피아들이다. 어쩌면 북한이라는 거대한 공간 자체가 전지구적 차원에서 보았을 때 일종의 거대한 헤테로토피아일 수도 있다는 것도 하나의 가능한 인식으로 도출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North Korea’s society and system through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In contrast to the notion of utopia, heterotopia refers to places that actually exist, as well as their exteriority. Museums, libraries, resorts, hotels, festivals, and public cemeteries—all existing everywhere— are examples of heterotopia.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can be called the North Korean phenomena, which includes Special Economic Zones and the city of Pyongyang itself. Through the concept of heterotopia, the meaning, symbol, and intent of such spaces and places—the North Korean phenomena—are analyzed and explained. In turn, the images that have been excluded or neglected are brought into the visible space. When the concept of heterotopia is applied, North Korea’s heterotopic places become “anti-spaces,” but they function not as defiance or resistance but as substantiation of existence. Moreover, just as Disneyland’s effort to create a utopia within (and thus without) the United States was ultimately about building a fantastic monumental space where history is lost, Pyongyang, too, appears to have forgotten history by reversing and halting the movement of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