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충 여부가 문제되는 민사판례들에 대한 검토 (A Study of Civil Judicial Precedents That Conflict or not)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6.05
39P 미리보기
상충 여부가 문제되는 민사판례들에 대한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산법연구 / 33권 / 1호 / 83 ~ 121페이지
    · 저자명 : 강태성

    초록

    대법원의 판례는 국민의 법률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대법원판례들의 상충 여부를 검토함으로써, 그 적정화에 기여하려고 한다.
    1. 「법인 아닌 사단」의 권리능력 내지 권리주체에 관한 판례들의 상충 여부「대법원 1970. 2. 10. 선고 69 다 2013 판결 등」은 법인 아닌 사단의 권리능력 내지 권리주체를 부인하나, 「대법원 1962. 5. 10. 선고 4294 행상 102 판결 등」은 이를 긍정한다. 따라서 兩判例는 상충한다. 생각건대, 오늘날의 통설인 법인실재설에 의하면, 원칙적으로 법인 아닌 사단의 권리능력 내지 권리주체가 인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뒷 판례가 타당하다.
    2. (법정)지상권에 관한 판례들의 상충 여부(1) 「대법원 1976. 5. 11. 선고 75 다 2338 판결(A)」과의 상충이 문제되는 판례① 위 판례(A)와 「대법원 2001. 12. 27. 선고 2000 다 1976 판결」은 상충한다. 검토하건대, 이 兩判例는 모두 수긍하기 어려우므로, 종물이론이 아니라 부종성이론에 의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② 위 판례(A)와 「대법원 1996. 4. 26. 선고 95 다 52864 판결 등」도 상충한다. 이 경우에도, 부종성이론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2) 「대법원 2001. 12. 27. 선고 2000 다 1976 판결 등(B)」과의 상충이 문제되는 판례① 위 판례(B)와 「대법원 1996. 4. 26. 선고 95 다 52864 판결(C)」는 상충한다. 위 판례(B)는 “법정지상권은 건물에 종속적인 권리가 아니다.”고 하므로, 부당하다. 뒷 판례(C)는 從物理論에 의할 경우에는 타당하지만, 附從性理論으로 해결하여야 하므로 부당하다.
    ② 위 판례(B)와 「대법원 1985. 5. 14. 선고 85 다카 13 판결(D)」도 상충한다고 할 수 있는 바, 뒷 판례(D)가 법정지상권의 인정이유에 합치하므로 타당하다.
    (3) 「대법원 2006. 10. 26. 선고 2006 다 29020 판결 등」과의 상충이 문제되는 판례위 판례와 「대법원 1971. 12. 10. 자 71 마 757 결정」은 상충한다. 검토하건대, 민법 제100조 제2항과 제358조는 그 취지가 같지 않으므로, 위 판례가 부당하다.
    3. 전세권에 관한 판례들의 상충 여부「대법원 1997. 11. 25. 선고 97 다 29790 판결」과 「대법원 1999. 9. 17. 선고 98 다 31301 판결 등」은 상충한다. 즉, 이 兩判例는 전세권자와 전세금반환채권자의 동일성 여부에서 상충하고, 전세계약이 합의해지된 경우에 전세금반환채권은 무담보로 되는가의 여부에서도 상충한다. 검토하건대, 뒷 판례가 타당하다.
    4. 근저당권에 관한 판례들의 상충 여부「대법원 2000. 4. 11. 선고 2000 다 5640 판결(E)」과의 상충 여부가 문제되는 판결들이 있다.
    ① 위 판례(E)는 「대법원 1994. 1. 25. 선고 93 다 16338 전원합의체 판결」과 상충하는 바, 위 판례(E)가 결과적으로는 타당하다.
    ② 위 판례(E)는 「대법원 1969. 3. 18. 선고 68 다 1617 판결」과도 상충하는 바, 위 판례(E)가 결과적으로는 타당하다.
    5. 위법성 조각에 관한 판례들의 상충 여부「대법원 1997. 8. 22. 선고 97 다 13023 판결」과 「대법원 1966. 7. 19. 선고 66 다 994 판결」은 상충하지 않는다. 즉, 앞 판례는 법률이 허용하는 행위(취소권의 행사)에서는 위법성이 조각된다고 하지만, 뒷 판례는 법률이 허용하는 행위에서 위법성이 조각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검토하건대, 법률이 어떤 행위를 허용하더라도, 그 행위의 위법성이 조각되는가는 그 허용의 취지 등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하며 일률적으로 할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兩判例는 충돌하지 않는다. 다만, 兩判例 모두가 부당하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Because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affect legal life of many citizens seriously, it is very important. Therefore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problem of whether Korean civil judicial precedents together conflict together or not.


    1. conflict problem of precedents on corporate non-jurstic person 「Korean Supreme Court 1970. 2. 10. declaration 69 다 2013 judgment ect.」 and 「Korean Supreme Court 1962. 5. 10. declaration 4294 행상 102 judgment ect.」 conflict together.
    I think that the second precedent is right.


    2. conflict problem of precedents on statutory superficies ① 「Korean Supreme Court 1976. 5. 11. declaration 75 다 2338 judgment」 and 「Korean Supreme Court 2001. 12. 27. declaration 2000 다 1976 judgment」 conflict together. I think that these all precedents is not right and that these cases should be solved through appendant nature.
    ② 「Korean Supreme Court 1976. 5. 11. declaration 75 다 2338 judgment」 and 「Korean Supreme Court 1996. 4. 26. declaration 95 다 52864 judgment」 conflict together.
    ③ 「Korean Supreme Court 2001. 12. 27. declaration 2000 다 1976 judgment」 and 「Korean Supreme Court 1996. 4. 26. declaration 95 다 52864 judgment」 conflict together.
    ④ 「Korean Supreme Court 2001. 12. 27. declaration 2000 다 1976 judgment」 and 「Korean Supreme Court 1985. 5. 14. declaration 85 다카 13 judgment」 conflict together.
    ⑤ 「Korean Supreme Court 2006. 10. 26. declaration 2006 다 29020 judgment ect.」 and 「Korean Supreme Court 1971. 12. 10. 71 마 757 decision」 conflict together.
    3. conflict problem of precedents on Chonsegwon 「Korean Supreme Court 1997. 11. 25. declaration 97 다 29790 judgment」 and 「Korean Supreme Court 1999. 9. 17. declaration 98 다 31301 judgment」 conflict together in two points. I think that the second precedent is right.
    4. conflict problem of precedents on collateral security ① 「Korean Supreme Court 2000. 4. 11. declaration 2000 다 5640 judgment」 and 「Korean Supreme Court 1994. 1. 25. declaration 93 다 16338 judgment」 conflict together. I think that the second precedent is right in the end.
    ② 「Korean Supreme Court 2000. 4. 11. declaration 2000 다 5640 judgment」 and 「Korean Supreme Court 1969. 3. 18. declaration 68 다 1617 judgment」 conflict together. I think that the second precedent is right in the end.
    5. conflict problem of precedents on non-illegality Do 「Korean Supreme Court 2000. 4. 11. declaration 2000 다 5640 judgment」 and 「Korean Supreme Court 1994. 1. 25. declaration 93 다 16338 judgment」 conflict together? Because non-illegality can not is mentioned in the same breath, I think that all of these two precedent is r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산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