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時代 學者들의 風·雅正變論 (A Study on Discourse of The Theory of FengYa-ZhengBian(風·雅正變論) in Joseon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4.03
30P 미리보기
朝鮮時代 學者들의 風·雅正變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58호 / 99 ~ 128페이지
    · 저자명 : 김수경

    초록

    風·雅正變論은 『詩經』의 風과 雅에 수록된 詩歌 작품을 시대 배경이나 작품 내용, 악장의 연주 방식 등에 의거해 正詩와 變詩로 재분류하는 논의를 가리킨다. 이 논의는 漢代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전개되었을 뿐더러 『시경』에 대한 객관적 고증의 성격보다 해석자의 주관적 해석 개입성향이 강한 까닭에 전통 詩經學 연구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된 바 있다. 그러나 讀『詩』者의 風·雅正變論에 대한 이해는 해석자의 인식과 그 인식이 배태된 사회문화 배경을 이해하는 데 여전히 유효한 연구 가치를 지닌다. 『시경』해석자의 인식과 문화배경을 이해하는 측면에서의 風·雅正變 연구는 근대 이후의 중국에서 보다 활발히 진행되었다. 관련 연구 경향은 기존 논문에서 이미 다룬 바, 본고에서는 중국에서의 風·雅正變論 발생·전개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조선시대의 風·雅正變 논의를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조선시대 학자들의 風·雅正變에 관한 논의에 대해 『시경』 해석 체제에 적극 개입시킨 논의 및 『시경』 해석 체제와 분리시킨 논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風·雅正變論을 『시경』 해석 전반에 개입시킨 논의 부분에서는 世次에 따른 風·雅正變論의 논지를 강조한 權近·韓汝愈·南公轍의 관점 및 風·雅正變論에서 風·雅·頌正變論으로 논의를 확장시킨 許穆·尹拯·韓汝愈의 관점, 그리고 창작 주체와 배경을 포착하여 風·雅正變論을 이해한 金昌翕·徐有榘의 관점을 살펴보았다. 한편, 風·雅正變論을 『시경』 해석 체제와 분리시킨 논의 부분에서는 『시경』 해석구도로서의 風·雅正變論이 지닌 한계와 모순을 본격적으로 인식한 正祖·李書九의 논의, 『시경』 해석으로서의 風·雅正變論과 『詩』 본질을 구분한 丁若鏞·崔璧의 관점, 그리고 風·雅正變論을 부정한 桂德海·成海應·沈大允·李炳憲의 관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학자들이 『詩』學 命題를 이해하고 『詩』 해석에 적용하는 과정이 결코 단일하지 않으며 각자의 해석입장을 다양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조선시대 시경학 분야의 연구에서는 특정 『시경』 命題에 대한 조선시대 개별 학자의 관점을 통시적으로 비교 고찰하는 시도가 드물었다. 본고의 시도는 특정 『시경』 命題에 대한 조선시대 학자들의 다양한 인식과 그에 반영된 다각화된 고민을 읽어내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Theory of FengYa-ZhengBian indicates the theory that resorts the Book of Songs into upright poems(Zhengshi) and denatured poems(Bianshi) according to time background, contents or playing methods of poems. This theory has received negative evaluation through the history of study of Confucian classics, because it was just aroused not till Han Dynasty, and it reflects interpreters’ subject opinions. However, we believe that it still has its own values in understanding the interpreters’ recognition process and social background that bore the awareness of time. The research about main discourse of the theory in China has already done in my advanced research, so this essay focuses on its discourse in Joseon Dynasty.
    The essay is main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discourse applying the theory of FengYa-ZhengBianin in Shihjing interpretation and the other one detaching it in Shihjing interpretation. In the first part, we look into the view points of emphasizing time order of poems’ creation, of expanding to the theory, and of focusing on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 In the second part, we examine the scholars who indicate the limitations and contradictions which the theory has, the attempt of separating the theory from the Shihjing itself, and the viewpoint of denying the theory. This result shows that the process Korean scholars went through was never simple or uniform, while they accept the typical statements of Shihjing Hermeneutics during Joseon Dynasty.
    The existing researches have rarely attempted the diachronic study about typical statements of Shihjing Hermeneutics in Joseon Dynasty. This essay attempts to read out diverse viewpoints reflected in understanding the theory of FengYa-ZhengBian through Joseon Dynasty. we hope this attempt could contribute to revealing the diverse understandings of Korean scholars about the more typical statements of Shihjing Hermeneutic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