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지식인들의 입당‧귀국로 (A Study on the Way used to go Tang and to return Silla by Silla Intellectual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3.01
26P 미리보기
신라 지식인들의 입당‧귀국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주사학 / 36호 / 21 ~ 46페이지
    · 저자명 : 김복순

    초록

    신라 지식인들 가운데에는 그들이 입당할 때와 귀국할 당시의 상황이 그들의 저술 내지 전기에 전하는 이들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의 입당로와 귀국로를 추적하여 보았다.
    신라 지식인들이 입당하여 장안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노선으로 등주 - 장안 직행로와 등주 - 오대산 - 장안로를 첫 번째 길로 상정하였다. 자장, 김춘추, 의상과 도의, 무염, 행적의 입당로를 추적하였다. 등주 - 장안 직행로는 대략 3,000리 정도로 추산되는데, 당나라의 大路 가운데 하나로 포함될 만큼 자주 이용된 교통로였다. 등주 - 오대산 - 장안로는 道義와 行寂의 기록이 있다. 道義가 간 길은 圓仁의 등주 - 오대산 路線으로, 엔닌의 기록에 따라 그 노선을 확정하였다. 이 노선에서 태원 - 장안의 길은 이미 당대에 장안(上都)과 낙양(東都) 그리고 태원(北都)를 잇는 三都路로 잘 닦여져 있었다. 따라서 신라지식인들이 오대산에서 태원까지의 길을 잘 갈 수 있다면 장안-오대산 왕복로는 안정적인 행로였다고 하겠다.
    이들의 중요한 두 번째 노선은 양주 - 장안로로서 의상의 입당로를 제시하였다. 수나라 양제 이후 江都로 불리었던 揚州에서 洛陽까지는 운하가 잘 닦이면서, 양주 - 장안 노선은 등주 - 장안 노선 이상으로 신라지식인들이 애용하였던 길로 추정된다. 양주에서 장안까지 2600里, 동도까지 1740里로 추정되는데, 등주 - 장안 길보다 양주에서 장안으로 가는 노정이 400리 가량이 덜 걸리는 것이 확인된다. 양주에서 운하로를 따라 楚州 盱眙縣에 이른 후, 淮河의 흐름을 거슬러 올라가 泗州 臨淮縣을 지나, 다시 汴河의 운하로를 따라 汴州로, 이어서 낙양, 장안으로 이동한 것이다. 의상은 문무왕 원년(661) 겨울에 당에 도착한 의상은 양주에서 한겨울을 지내고 이듬해인 662년에 장안으로 갔다. 汴河가 黃河의 물을 주로 끌어 쓰므로 황하의 수량이 줄어드는 음력 10월부터 이듬해 3월 사이에는 운하를 이용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신라 지식인들의 귀국로는 입국하였던 경로를 역으로 나아가는 노선이었을 것이다. 이들 가운데 귀국로에 대한 기록을 남긴 이로 김춘추와 의상, 최치원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ere are the few persons among Silla intellectuals left a record of the situation when they went to the Tang and return to Silla. This study is on the road that is summarized to track the records of them. The route is divided into two major, when Silla intellectuals used to go the Tang‘s capital Chang'an.
    First is the direct road from Deungjou to Chang'an or around the way from Deungoju through Mt. Utaisan to Chang'an. The direct route is a way that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cords left by Jajang, Kimchunchu, Uisang and Doui, Mooyeum. This road is one of Tang's big ways, that's distance is roughly estimated at 3000li. Around the wa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Ennin. Ennin went from Deungjou to Mt. Utaisan along this lines. Silla monks taught him this way. This route was a way to connect the three capital, so-call Chang'an-Taiyuan- Luoyang, already had been well maintained.
    The next was route from Yangzhou to Chang'an. This route is the road completed with the opening of the Grand Canal that was opened by the Sui dynasty Emperor Yang-di. This way was a favorite with Silla intellectuals. This route was nearly 400Li short distance than the route from Deungjou to Chang'an. Distance from Yangzhou to Chang'an is 2600Li.
    The Silla intellectuals who choose this route went to Chujou from Yangzhou along the Canal. And they went via Shizhou(泗州) along the Huihe(淮河), Byenzhou(汴州) along the Byenhe (汴河), Luoyang into Chang'an. Uisang was the one who went into the Chang'an along this route. Uisang started to Tang to use the vessel of Tang's envoys. he had arrived Deungjou in winter 661 years. After that he stayed at the government office in Yangzhou.
    Byenhe to use drawn water from the Yellow River was not available as the Canal from the lunar calendar October until March of the following year. Because this time is the dry season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of the Yellow River. So Uisang went to Chang'an the following year, 662, after spent the winters in Yangzhou.
    And the Way that the Silla intellectuals coming back was the reverse route of the immigration. I examined mainly, about the way they return home, the example of later period Silla envoys, Kimchunchu and Uisang, Choichiwon to m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주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