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권은 적산포(赤山浦)에서 오대산까지, 제3권은 오대산에서 장안입성까지, 제4권은 무종에 의한 불교탄압으로 일본으로 돌아가는 과정을 적고 있다.이러한 『입당구법순례행기』는 9세기 동 ... 였다.다. 입당구법순례행기 권 제3)오대산을 순례하기도 하고, 일본에 없는 불법을 적고, 여러 법경에 관련된 이야기와 측천무후의 철탑, 금강굴 같은 곳도 둘러보았다. 7월 1일 장안 ... 척의 신라선과 바다 길에 익숙한 신라선원 60여명을 고용하여 귀국하려 하였다. 그러나 원인은 김정남과 의논하여 몰래 밀주에 숨어 있다가 천태산으로 향하고 아울러 장안을 가기로 결정
을 것이다.신라인들의 도움으로 오대산과 장안을 여행한 엔닌은 841년 8월 7일에 본국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서장을 공덕사에 올렸다. 그러나 당시는 회창법난(會昌法難))의 시기였 ... 에 입당하는 견당사들은 북서 계절풍과 태풍 경로의 남하 등을 고려해 주로 경주-당은포-황해중부횡단-등주-장안을 잇는 북로를 선택했다. 한편 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귀국하던 견당사 ... 들은 중국에서의 운하 이용과 황해상에서의 남서 계절풍 및 해류 그리고 강회지방에 산재해 있던 국제 무역항에서의 물품구매의 편리함 때문에 장안-강회지역-황해남부사단-회진-경주를 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