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松溪 趙得年의 儒脈의 도상화 양상 연구 (A Study on Songgye Jo, Deuk-yeon`s Wor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5.01
32P 미리보기
松溪 趙得年의 儒脈의 도상화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42호 / 219 ~ 250페이지
    · 저자명 : 박종훈

    초록

    한양조씨 忠靖公派의 후손인 松溪 趙得年(1857~1913)과 관련된 문집을 살펴보았다. 조득년은 性齋 許傳(1797~1886)의 제자로 허전의 학문 경향을 그대로 이어받았는데, 허전은 이황으로부터 시작된 南人의 학통을 그대로 이어받은 조선말 성리학자이다. 허전의 제자에 대한 연구 역시 경상우도에 편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조득년은 충청도 부여에 거주했던 남인이라는 점도 독특하다.
    『松溪先生文集』은 총3권의 필사본인데, 권1은 家乘의 글을 모아둔 것으로, 門人인 趙鍾漢이 修纂한 것이다. 조득년 선조들의 行狀, 碑銘, 記文 총 32편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27편은 조득년의 글이고 허전, 조광조, 丁熿, 尹善道 등의 작품도 보이는데, 조광조나 정황, 윤선도의 작품은 그들의 개인문집에 보이지 않는다.
    권2 역시 조종한이 수찬한 것으로 師訓과 관련된 조득년의 작품을 모아두었다. <不卷堂元日詩圖>와 <不卷堂養心銘圖>가 실려 있는데, 모두 스승인 허전의 작품과 관련된 것이다. 이 圖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우선 孔子로부터 이어진 道脈을 상세히 설명하면서 이를 이황이 이어받았고 자신의 스승인 허전에게까지 이어졌다는 것이다.
    권3에는 조득년의 연보가 수록되어 있다. 이 연보에게 눈에 띄는 점은 우선 만년까지 경전은 물론 『性理大全』이나 『朱子全書』, 『朱子綱目』 등의 성리학과 관련된 서적을 지속적으로 탐독했다는 점이다. <蒙井孔畈圖>와 <泉谷九曲圖>는 모두 『洛書』의 모습을 그대로 담아낸 그림이다. 특히 <몽정공판도>는 자신이 거주하는 곳의 실제 지명을 활용하면서, 그곳을 공자나 안연, 맹자, 子思, 周子, 程子, 朱子로 환치시켰다. 이를 통해 자신이 거주하는 곳이 성학이 깃든 곳이며, 성학의 계승자임을 자임했다.

    영어초록

    I considered a collection of works that JO, Deuk-yeon(1857~?) is descendants of Hanyang Jo Clan, Hoeuigongpa. Preferentially, the point of part, Jo, Deuk-yeon was followers of Sungjae Heo Jeon, he follow learning tendency that way. Sungjae Heo Jeon also studied Sung 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that took over a scholastic mantle of Namin school the beginning from Lee hwang. Also, this study was concentrated almost Cho, Kwangjo and Cho, kyung that are related to Hanyang jo Clan. and It was maed too much of almost KyungsangUdo that study about a disciple of Heo Jeon. But, Jo, Deuk-yeon was lived in Chung cheongdo, Buyeo. He received an idea of Heo Jeon as it is.
    It is a collection of JO, Deuk-yeon`s works that is called Songkyesunsaengmungib, there are total 3 books. At BookⅠ, was collected a record of the social standing, by Jo, Jonghan. There was total 32 piece of works that records of a deceased person’s life, an inscription on a grave stone, strange peculiar news. It was recorded work of One book flow run through a plain that about a family that succeed a Confucian scholar and that praise such the family succeed.
    It was recorded work of BookⅡ also edited by Jo, Jonghan that was collected works of Jo, Deuk-yeon that be related to the teaching of the teacher. This book was given <Bulguandandwonilsido> and <Bulguandangyangsimmyungdo>. but, This was associated with Heo Jeon, his teacher. This point view, he, in particular, explained that Dao(道) be connected from Gongja. So, he was got joined on Lee, whang. and from to the amount of Heojeon, his teacher. Conclusion, this works were consider regard himself as a Confucian scholar.
    At BookⅢ, it gather Jo, Deuk-yeon`s chronological list of the main events. This book contains Jo, Deuk-yeon`s chronological record. This was found that he continuously read 『sungridaejeon』 or 『Jujajeonseo』, and so on. Specially, He revered Lee, hwang that he was suspended Lee, hwang`s 『sunghaksibdo』. It was expressed individual self-conceit that joined from Lee, hwang to Heo, jeon. <Mongjunggonpando> and <Chungokgugokdo> were appeared he lived in. and there were stressing works the main cardinal point of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