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槪念과 兩面性傳統이란 하나의 계통을 古朝鮮부터 現代까지 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계통이 있기 위해서는 과거의 歷史, 文化, 思想이 있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전통이란 변화 ... 고 혹은 부군으로 와전되기도 하였으며 A.D372년 불교가 공인되면서 八關이라고 쓰기도 하였다.신라 하대의 최치원은 이러한 우리의 사상을 ‘風流’라 하였는데, 이는 儒?佛?道敎의 三敎 ... 신앙 등을 모두 흡수?융합한 신라의 오랜 종교문화의 소산물로 儒?佛?道의 여러 원리적인 중요사상을 본원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범신교적인) 종교적 종합문화라고 할 수 있다. 풍류도
는 儒?佛?道를 근간으로 하여 국가를 지탱하고 이끌어 나갔는데, 이중 新羅하대에 발전하여 高麗時代에 크게 성행하였던 道敎는고려인의 애국심을 고취시키기도 하였고, 왕조의 정당 ... 을 하였는데, 高麗 初期부터 朝鮮의 開國까지 그 영향을 두루 미쳤으며 또한 佛敎와 결합되어 고려인의 생활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하였다.이러한 高麗時代에 國家와 民間에 많은 영향 ... 토록 하였다고도 한다. 이러한 도교의 성행은 민간에 守庚申이라는 道敎習俗까지 낳게 하여 그 풍습이 오늘날에 이르게 까지 된다. 朝鮮時代에 들어서면서 醮祭 중심의 道敎는 그대로 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