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뒤르케임의 사회과학철학: 반환원주의적 통섭의 가능성 (Durkheim’s Philosophy of Social Science : Potential of Anti-Reductionist Consilience)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5.10
41P 미리보기
뒤르케임의 사회과학철학: 반환원주의적 통섭의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49권 / 5호 / 267 ~ 307페이지
    · 저자명 : 김명희

    초록

    지난 10여 년간 통섭(Consilience)을 둘러싼 국내 학계의 논쟁은 학문의 최신유행을 쫓는 지적 관행을 넘어 오늘날 한국사회가 당면한 학문의 위기 상황에 대한 반성과 극복의 노력을 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논의는 자연과학과 인문과학의 분화 이전의 상황에 대한 비판적 성찰 없이 진행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 글은 사회학의 창시자로 19세기 말 통합학문을 지향했던 뒤르케임의 사회과학철학을 현재 학문 통합의 방향 하에서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비판적 실재론의 지원 속에서 더욱 명료해진 뒤르케임의 사회학적 자연주의 - 반환원주의적 층화 이론과 관계적 사회실재론 - 는 과잉자연주의적 환원주의와 인문학 내의 반자연주의적 해석학의 한계를 넘어 자연과학, 사회과학, 인문학의 분할을 새롭게 재통합하는 ‘오래된 미래’로서 반환원주의적 통섭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결국 오늘날 국내 학계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킨 Consilience 논쟁은 과학 활동의 특성에 일관되게 부합하는 뒤르케임의 사회과학철학의 귀환을 요청하고 있는 생산적인 담론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For the last decade, the Korean academia’s arguments over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has gone beyond the pure intellectual practice pursuing the latest academic trend which is considered as self reflective and attempts to resolve the current crisis that the field of studies in Korean society faces. However, the discussions so far have proceeded without critical reflection regarding the former situational context in which natural science and human science had its division. This paper will shed new light on the philosophy of social science of Durkheim, who, as the founder of sociology, pursued interdisciplinary studies at the end of 19th century that aligned with the current direction of unity of Knowledge. Supported by the critical realism, being clearer than ever, the sociological naturalism -the anti-reductionist stratification theory and relational social realism - by Durkheim presents the potentiality of anti-reductionist consilience as the “old future” reuniting the division of natural science, social science and human science beyond the limits of hyper naturalistic reductionism and antinaturalism within humanities. Ultimately, the arguments over consilience creating a huge sensation in current Korean academia can serve as a venue for productive discussions calling for the return of Durkheim’s philosophy of social science in order to consistently meet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