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Gender Perception of Mothers with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3.06
20P 미리보기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3권 / 11호 / 801 ~ 820페이지
    · 저자명 : 고선영, 전효정

    초록

    목적 국내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性)’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후 성교육프로그램개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포괄적 성교육이 활성화되던 2001년부터 새로운 성교육 흐름이 도입되는 2022년까지 국내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찾아본 문헌은 총 7,614건으로 그 가운데 부모의 성인식 관련 8건의 문헌을 선정하여 고찰하였다. 관련 문헌은 초록, 연구설계 및 연구 방법, 연구 결과를 살펴보고 부모의 성인식 변화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문헌에서 미흡한 부분은 2022년 11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경남 K 지역 성교육 전문기관에 초등 5⋅6학년 자녀성교육을 신청한어머니 20명의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여 2023년 1월 2일부터 3월 3일까지 자녀 학년에 따라 어머니 5명씩 4팀으로 선정하여 팀별로2시간씩 2회 총 16시간 8회 인터뷰 면접을 진행하였다. 인터뷰 면접 내용은 어머니의 언어적 표현⋅몸짓⋅비언어적 표현⋅팀 분위기 등 두드러지거나 특색이 있는 경우 전부 포함하여 전사하였으며 관련 내용은 알아보기 쉽게 빈도분석과 워드 클라우드로 시각화하였다.
    결과 국내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性)’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어머니의 사회적 인식과 개인적인식에 따라 성인식이 달랐으며, 부정적 성인식과 부정적 성 태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는 성교육에 대하여 피상적 이해로 그쳤으며, 자녀와 ‘성(性)’에 대한 원활한 상호작용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 문제 발생에 대한 인식 변화와 실제적 예방 교육의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넷째, 친밀한 어머니⋅자녀 관계에도 ‘성’에 대한 의사소통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녀의 성적호기심에 대한 현실적 대처가 부족하고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어머니에 대한 성교육이 어머니⋅자녀의 교량 역할로서기능하며 자녀의 올바른 성에 대한 이해를 견인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결론 국내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에게 더 이상 ‘성’은 민감한 주제가 아닌, 일상에서 자녀와 나누며 성문제를 예방할 수있는 교육이 되도록 체계적 방법과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아버지에 대한 성인식이 자녀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경향도 매우높으므로 아버지의 성인식을 알아보는 연구가 추후에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It is intended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sex” of mothers with children in fifth and six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n Korea and seek ways to develop sex education programs thereafter.
    Methods From 2001 when comprehensive sex education was activated to 2022, when a new trend of sex education was introduced, a total of 7,614 documents were searched to find out the gender perception of mothers with 5th and 6th graders in Korea. Related literature examined abstracts, research design and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results, and looked at parents' satisfaction with changes in adulthood. Next, from November 1st to December 30th, 2022, 20 mothers who applied for child sex education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recruited to conduct a total of 16 hours and 8 interviews for 2 hours per team from January 2nd to March 3rd, 2023. Interview interviews were transcribed including all prominent or distinctive cases such as mother's verbal expression, body movement, non-verbal expression, and team atmosphere, and related contents were visualiz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word cloud for easy recognition.
    Results The perception of “sex” of mothers with children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was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adulthood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mother's social and personal perceptions, and negative perception and sexual attitude were shown. Second, mothers only had a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sex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smooth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about “sex” was difficult.
    Third,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occurrence of sex problems and the need for practical preventive education were highlighted. Fourth,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about “sex” was difficult even in close mother-child relationships. Fifth, it was found that realistic response to children's sexual curiosity was insufficient and difficult.
    Sixth, it was confirmed that sex education for mothers functions as a bridge for mothers and children and leads to an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s proper sex.
    Conclusions For mothers with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Korea, “sex” should no longer be a sensitive topic, but systematic methods and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educate them to prevent sexual issues in their daily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