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악취배출시설설치·운영신고의 법적 성격과 인허가의제에 대한 소고 - 대법원 2022. 9. 7. 선고 2020두40327 판결 - (Analysis of the Legal Nature of Installation and Operation Notification of Odor-emitting Facilities and the Deemed Authorization or Permission System: Focus on the Supreme Court 2020Du40327 Decision S)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3.06
56P 미리보기
악취배출시설설치·운영신고의 법적 성격과 인허가의제에 대한 소고 - 대법원 2022. 9. 7. 선고 2020두40327 판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판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행정판례연구 / 28권 / 1호 / 47 ~ 102페이지
    · 저자명 : 박종준

    초록

    대상 판결은 「악취방지법」 제8조의2에 따른 악취관리지역 외의 지역에서의 악취배출시설 설치·운영 신고에 대한 대도시의 장 등 관할 행정청의 반려처분 등에 대한 취소소송이다. 본 판결은 대표적인 환경오염물질 중 하나인 악취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개별 환경법 영역과 필수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면서도 또 한편으로 행정법상의 중요한 법적 쟁점들에 대한 해석ㆍ판단이 원심과 대법원의 각각 다른 결론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행정법 일반의 차원에서도 그 의미가 꽤 크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 사건에 적용된 「악취방지법」 등 유관 법령의 규율 체계 ‧ 내용 ‧ 한계 등을 토대로 원심과 대법원의 판단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원심과 대법원이 각각 다른 결론을 내린 원인은 첫째, 「악취방지법」상 악취배출시설의 설치 ‧ 운영 신고 관련 규정의 해석에 대한 입장 차이, 둘째, 「악취방지법」과 관련되는 다른 법령(「대기환경보전법」, 「환경정책기본법」등)상 규율과의 관계, 셋째, 「악취방지법」의 입법 취지와 내용 ‧ 체계 등에 대한 입장 차이에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심 결정의 경우 중복규제 문제 등의 구체적인 법현실에 초점을 두고 「악취방지법」상 악취배출시설의 설치 ‧ 운영신고의 법적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부분이 있으나, 법률유보의 원칙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점, 「악취방지법」의 독자적인 규율 취지 ‧ 내용 등을 소극적으로 반영한 점, 신고제와 관련된 행정법 차원에서의 체계적 접근이 부재한 점 등을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한편 대법원 결정의 경우 무엇보다도 「악취방지법」에서 요구하고 있는 신고자의 악취방지계획 수립 및 제출 의무의 법적 의미에 집중하여 이로부터 악취배출시설 설치ㆍ운영신고가 수리를 요하는 신고에 해당한다는 점을 명백히 밝혔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가진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악취방지법 시행규칙」 제9조의 법적 문제에 관한 논증이 미흡한 점, 인허가의제 법정주의의 범위에 법률의 위임에 따른 법규명령의 근거를 포함함으로써 인허가의제 법정주의의 의미를 왜곡할 우려가 있는 점, 수리를 요하는 신고에 있어서 마치 허가나 승인 등에 버금가는 행정청의 광범위한 재량을 인정함으로써 진입규제의 심사권 범위에 관한 혼선을 가중시키고 있는 점 등을 아쉬운 지점으로 꼽을 수 있다. 대상 판결이 제한된 현행 「악취방지법」 등의 규정체계 내에서 고군분투하여 도출한 결론이 해당 개별 사건에 가지는 타당성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인지된 유관 규정체계 내의 미비 사항은 후속 입법절차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보완되어 나갈 필요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arget judgment involves a cancellation lawsuit against the rejection decision by the competent administrative agency, such as the mayor of a metropolitan city, regarding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notification of odor-emitting facilities in areas outside the odor management zones defined under Article 8-2 of the “Act on Odor Prevention.” This ruling is significant not only because it addresses the issue of odor,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is inherently related to the individual environmental law area, but also because it directly influences the interpretation and judgment of important legal issues in administrative law, leading to different conclusions between the tri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trial court's decision and the Supreme Court's decision based on the regulatory system, content, and limitations of relevant laws such as the “Act on Odor Prevention,” we identified several reasons for the diverging conclusions. First, there were different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notification of odor-emitting facilities under the “Act on Odor Prevention.”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laws such as the “Act on Air Quality Preservation” and the “Basic Environmental Policy Act” that are related to the “Act on Odor Prevention.”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gislative intent,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Act on Odor Prevention.” The trial court decision focused on clarifying the legal nature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notification of odor-emitting facilities under the “Act on Odor Prevention,” emphasizing specific aspects such as the issue of overlapping regulations. However, it can be criticized for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principle of legal reservation and a passive reflection of the unique purpose and content of the “Act on Odor Prevention,” as well as the absence of a systematic approach from the administrative law perspective regarding the notific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Supreme Court decision has significant importance as it clearly emphasized the legal significance of the obligation of odor prevention planning and submission by the notifier, as required by the “Act on Odor Prevention,” and explicitly stated that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notification falls under the category of notifications that require remedies.
    However, there are shortcomings such as insufficient arguments concerning the legal issues related to Article 9 of the “Enforcement Rule of the Act on Odor Prevention,” the potential distortion of the meaning of ‘Deemed Authorization or Permission’ principle of substantive legality by including the basis of statutory regulatory orders based on legal delegation, and the concern of exacerbating confusion regarding the scope of discretion in the review of regulatory entry by acknowledging the wide discretion of administrative agencies similar to permits or approvals. Despite the limited scope of the current regulatory system, if the target ruling recognizes the validity of the conclusions reached through strenuous effort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upplement the identified deficiencies within the relevant regulatory system through subsequent legislative proced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