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후발적 경정청구사유인 ‘판결’의 범위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20. 1. 9. 선고 2018두61888 판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cope of ‘Judgment’ Eligible for Request for Correction Based on Subsequent Events - Focused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8Du61888 dated January 9, 2020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0.11
38P 미리보기
후발적 경정청구사유인 ‘판결’의 범위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20. 1. 9. 선고 2018두61888 판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세법연구 / 26권 / 3호 / 147 ~ 184페이지
    · 저자명 : 유철형

    초록

    최근 선고된 대법원 2020. 1. 9. 선고 2018두61888 판결(이하 ‘대상 판결’이라 한다)은 형사판결을 후발적 경정청구사유인 관세법 제38조의3 제3항 소정의 ‘판결’로 볼 수 없다고 하였다. 형사판결에서 조세포탈 공소사실에 대해 납세의무자가 원고가 아니라 제3자라는 이유로 무죄판결이 확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형사판결이라는 이유만으로 후발적 경정청구사유인 ‘판결’로 볼 수 없다는 대상 판결이 타당한지 의문이다.
    후발적 경정청구제도는 납세의무가 성립한 이후에 발생한 사유로 인하여 당초 신고 또는 결정한 과세표준과 세액의 산정기초에 변동이 생긴 경우 납세자가 과세표준과 세액의 감액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납세자의 권리구제를 확대하려는 데에 입법취지가 있다. 최근 대법원은 이러한 입법취지에 부응하여 후발적 경정청구에 관한 세법 규정의 문언에도 불구하고 후발적 경정청구사유를 넓게 인정해 오고 있으나, 후발적 경정청구사유의 하나인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2항 제1호에 대해서는 그 적용대상을 매우 좁게 해석하고 있다.
    대법원은 판결의 효력으로 과세표준 및 세액의 계산근거가 된 거래 또는 내용의 존부나 법률효과가 다른 것으로 변경된 경우만을 의미한다고 해석함으로써 위 제1호에서의 ‘판결’을 민사판결로만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2항 제1호를 대법원과 같이 좁게 해석할 이유가 없다. 위 제1호의 문언상 과세표준 및 세액의 계산근거가 된 거래 또는 행위 등에 관한 소송이 있고, 그 소송에서 거래 또는 행위 등의 존부나 법률효과가 다른 내용의 것으로 확정되었다는 점이 증명되는 경우는 위 제1호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후발적 경정청구제도의 입법취지, 위 제1호의 문언 및 합목적적 해석, 후발적 경정청구사유를 확대해 오고 있는 최근 판례 경향 등을 종합하여 보면, 위 제1호의 ‘판결’의 범위를 민사판결로 제한할 이유는 없고, 해당 판결의 주문과 이유에 비추어 볼 때 과세표준 및 세액의 계산근거가 된 거래 또는 행위 등의 존부나 법률효과가 다른 내용으로 변경되었다는 점이 증명되는 판결이라면 형사판결, 조세소송판결 등 판결의 종류에 관계없이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법령에 대한 해석의 변경이나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이 있는 경우 이는 납세자가 아니라 전적으로 국가기관(과세관청, 법원, 국회)에게 책임이 있는 경우이므로 위 제1호의 후발적 경정청구사유로 봄이 타당하다.
    위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면 대상 판결이 근거로 제시한 세 가지 이유는 부당하고, 후발적 경정청구사유인 ‘판결’의 법리와 후발적 경정청구사유를 문언보다 확대하고 있는 최근 판례에도 어긋난다. 대상 판결은 형사판결이 후발적 경정청구사유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명시적으로 판단한 최초의 판결이라는 점에서만 의미가 있을 뿐, 위와 같은 문제가 있으므로 조속히 변경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 a recent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8Du61888 dated January 9, 2020 (hereinafter “Decision”), the Supreme Court determined that criminal judgments could not be seen as ‘judgments’ eligible for request for correction based on subsequent events pursuant to Article 38-3(3) of the Korea Customs Duty Act.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Decision that a criminal judgment, in which a verdict of acquittal was rendered on the basis that the taxpayer of the tax evasion charges was a third party as opposed to the plaintiff, cannot be a ‘judgment’ eligible for request for correction based on subsequent events solely based on the reason that it is a criminal judgment is appropriate.
    The legislative intent of the request for correction based on subsequent events system is to expand the taxpayer’s right to relief by allowing the taxpayer to request a reduction in the tax base and the amount of tax if there is a change in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tax base and the amount of the tax amount originally reported or determined due to events that occurred after the tax obligation wa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legislative intent, the Supreme Court has recently widely recognized the grounds for a request for correction based on subsequent events despite the text of the tax law on requests for correction based on subsequent events. However, the Supreme Court makes a very narrow interpretation of events subject to Article 45-2(2)(1) of the National Basic Tax Act (“NBTA”), one of the events eligible for seeking requests for correction based on subsequent events.
    The Supreme Court interprets ‘judgment’ in subparagraph 1 to refer only to civil judgments by construing that the effect of a judgment is limited to instances where there is a change to the existence or absence of the transaction or content or legal effect on which the tax base and amount of tax were calculated.
    However, there is no reason to interpret Article 45-2(2)(1) of the NBTA as narrowly as the Supreme Court. If a lawsuit is filed on a transaction or act that is the basis for the calculation of the tax base and the amount of tax in the words of subparagraph 1 above, and it is proved that the existence of the transaction or act or the legal effect is determined to have different contents, the above can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subparagraph 1 above. If you look at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system of request for correction based on subsequent events, the text and interpretation of the above subparagraph 1, and the recent trend of precedents that have been expanding the reasons for request for correction based on subsequent events, there is no reason to restrict the scope of the ‘judgment’ under subparagraph 1 to civil judgments, and if it is a judgment that proves that the existence of a transaction or act that was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tax base and the amount of tax or the legal effect has changed in light of the order and reason of the judgment, it is appropriate to include such judgment regardless of the type of judgment, whether it is a criminal judgment, a tax litigation judgment, or other type of judgment. Further, if there is a chang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or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the responsibility lies not with the taxpayer, but solely with the state agency (the customs office, the court, the National Assembly) and as such, should be regarded as being eligible for request for correction based on subsequent events under subparagraph 1.
    Considering the above, the three grounds presented in the Decision are unjust and also contrary to recent precedents in which the jurisprudence of ‘judgment’, which is grounds for a request for correction based on subsequent events, and the grounds for a request for correction based on subsequent events are expanded beyond the text. This Decision is meaningful only in that it is the first judgment explicitly deciding that criminal judgments do not fall within the scope of judgments eligible for request for correction based on subsequent events and must be quickly changed due to the issues raised ab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세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