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차별시정제도에 관한 판례 평석 — 대상판례: 대법원 2016. 12. 1. 선고 2014두43288 판결 — (A Study on the Precedent of The System of Correcting Discrimina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9.04
30P 미리보기
차별시정제도에 관한 판례 평석 — 대상판례: 대법원 2016. 12. 1. 선고 2014두43288 판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법연구 / 37호 / 277 ~ 306페이지
    · 저자명 : 윤기택

    초록

    차별시정제도가 기간제・단시간・파견제 등 비정규직 근로자를 부당한 차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도임을 생각할 때, ① 구제이익의 존부에 관하여, 엄격 제한설은 근로기준법상 구제신청 논리를 적용하고 있어서 타당하지 않으며, 금전보상 등의 이유로 구제이익을 인정한 대상판례는 타당하다.
    ② 비교대상 근로자의 존부에 관하여,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차별금지는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원칙, 노동착취의 금지의 이념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동종・유사성을 확대 해석하고 동시성 요건은 필요하지 아니하며, 대상판례에서 기간제 근로자와 운전강습이라는 본질적인 차이가 없는 정규직 운전기사를 비교대상 근로자로 인정한 것은 타당하다.
    ③ 불리한 처우 및 합리적 이유의 존부에 관하여, 비정규직 보호법의 취지에 맞게 차별적 처우의 금지대상은 폭넓게 인정하고, 합리적 이유는 엄격하게 해석하여야 한다. 단체협약의 적용으로 이를 적용받지 아니하는 비정규직 운전기사에 비하여 정규직 운전기사를 우대하는 결과가 초래된 경우, 이는 차별대우의 합리적 이유가 될 수 없다는 대상판례의 해석은 타당하다.

    영어초록

    The System of Correcting Discrimination aims to protect irregular employees such as fixed-term, part-time, and temporary agency from unfair discrimination, the following arguments can be drawn on the Precedent.
    First, when it comes to regulatory benefit, strict limitation appears not appropriate as it applies the logic of requisition of relief on the Labor Standard Act. On the other hand, the Precedent which recognized requisition of relief in accordance with monetary award seems reasonable.
    Furthermore, concerning the existence of worker for comparison, a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to irregular employees encompasses the principle of the same salary for same work, the belief on a ban of labour exploitation, therefore, expanding the interpretation of sameness and likeness, and simultaneity is not required. This supports the Precedent's logic, which concedes temporary workers and regular workers can be a target of comparison because both hold a common fundamental factor, driving lecture.
    Finally, for the purpose of Act on the Protection, etc. of fixed-term and part-time employees, the target of a prohibition on discriminative treatment has to be broadly recognized, and in contrast, reasonable grounds should be limitedly interpreted since it against mandatory provisions. Despite the Case led discriminative treatments as a result of a collective agreement and its application between regular workers and temporary workers, this clearly conflicts with a mandatory provision on the law in force. Consequently, the Precedent’s assertion, which does not allow it as a reasonable ground for discriminative treatment, appears vali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