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담합사례금의 손금 산입 여부-대법원 2017.10.26. 선고 2017두51310 판결- (Reexamination of Collusion Rewards as Inclusion in Deductible Expenses : The Supreme Court judgment of 2017Du51310 announced on October 26, 2017)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8.03
20P 미리보기
담합사례금의 손금 산입 여부-대법원 2017.10.26. 선고 2017두51310 판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세연구포럼
    · 수록지 정보 : 조세연구 / 18권 / 1호 / 91 ~ 110페이지
    · 저자명 : 이상신

    초록

    최근 담합사례금을 지급한 경우와 같이 위법한 지출이 있는 경우에 대해서 그 손금 산입을 부인하는 취지의 대법원 판결이 선고되었다. 이러한 판례의 태도는 부당하다고 생각하여 법인세법상 손금 인정에 관한 이론을 검토한 후 대상 판결의 내용을 3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독일이나 일본의 입법례, 회계학적 비용 개념들을 고려하면 위법성 여부와 관계없이 순자산감소를 초래하는 지출이 있는 경우 원칙적으로 손금산입을 인정해야 하며, 따라서 위법한 지출도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통상적인 비용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둘째, 담합사례금의 지출과 같은 사회질서 위반이 있는 경우이더라도 무조건 통상적인 비용이 아니라고 할 것이 아니라, 그 지출의 형태나 규모, 업계의 관행 등을 고려하여 심히 중대한 위반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통상적인 비용으로 인정하여야 한다.
    셋째, 사회질서 위반이 있는 지출은 통상성이 없다고 해석하는 것은 법인세법 제19조의 체계상 맞지 않고, 순자산감소가 있다면 손금으로 인정하되 사회질서 위반이 큰 경우에만 이를 손금에서 부인하는 해석을 하는 것이 제19조의 해석 체계와 부합한다. 만약 대상판결과 같은 해석을 유지하려면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한 판례변경을 하여야 한다.
    넷째, 법인세법 제19조 제2항을 근거로 한 손금불산입을 인정하는 것은 구체적인 규정이 있는 다른 손금불산입 항목과 균형이 맞지 않으며, 사회질서 위반을 이유로 통상적인 비용이 아니라는 대상판결의 논리는 과세요건 명확주의에 위반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순소득을 과세대상으로 하면서 담합사례금을 받은 것은 익금으로 하고 지출한 것은 손금을 부인하는 것은 공평의 원칙에 반할 뿐 아니라 순소득을 과세하는 법인세 계산방식과도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손금을 인정하지 않으려면 입법조치가 선행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Recently, the Supreme Court announced a ruling to deny the inclusion in deductible expenses in case of illegal expenses such as the payment of collusion rewards. Believing that this precedent attitude was unfair, the investigator reviewed theories about the recognition of deductibility in the corporate tax law and the content of its rulings in three aspects, and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given the legislation cases and concepts of accounting costs of Germany and Japan, it will be natural to recognize inclusion in deductible expenses in principle regardless of legality in case of expenses to cause the reduction of net assets, which raises a need to include illegal expenses in the category of ordinary expenses that are generally allowed.
    Secondly, even in case of social order violations such as the payment of collusion rewards, they should be recognized as ordinary expenses with their form and size and the practice of the industry taken into account instead of insisting that they should be ordinary expenses unconditionally unless there is a very serious violation. Thirdly, an interpretation that there is no ordinary nature in expenses violating the social order does not agree with the system of Article 19 of Corporate Tax Act. Another interpretation that a reduction of net assets should be recognized as part of deductibility and denied as part of it only in case of a huge social order violation agrees with the interpretive system of Article 19. If they wish to maintain the interpretation involved in the concerned judgments, they will have to change the precedents through an en banc judgment. Finally, the recognition of non-inclusion in deductible expenses based on Article 19, Clause 2 of Corporate Tax Act does not strike balance with other articles of non-inclusion in deductible expenses based on specific regulations. The logic applied in the concerned judgments saying that certain expenses are not ordinary expenses based on the violation of the social order is likely to go against the clarity of tax law. When they make net income an object of taxation, take the acceptance of collusion rewards as profit, and deny their payment as deductible expenses, in particular, they will not only violate the principle of fairness but also disagree with the method of calculating corporate taxes by imposing taxes on net income. There should be a legislative action before denying them as deductible expen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