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과의례의 관점에서 본 두 한국인 무슬림 여성의 가정 만들기 서사 (Home-Making Narratives of Two Korean Muslim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Rite of Passag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5.05
39P 미리보기
통과의례의 관점에서 본 두 한국인 무슬림 여성의 가정 만들기 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론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 이론 / 26호 / 215 ~ 253페이지
    · 저자명 : 김영은, 박정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두 한국인 무슬림 여성의 가정 만들기에 관한 서사를 통과의례의 맥락에서 살펴보고, 그들이 꿈꾸고 있는 행복한 가정의 모습이 상이하게 드러나는 이유를 고찰하는 데 있다. 한 명은 무슬림으로 개종한 후 미국인 무슬림과 결혼한 알리야이며, 다른 한 명은 파키스탄 남성과 결혼한 후 무슬림으로 개종한 김옥화이다. 배우자와 종교를 무슬림으로 선택했기에 이 여성들의 가정은 국민국가의 ‘정상 가족’ 프레임으로 재현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현실’과 불화하거나 타협하면서 각자 원하는 가정의 ‘현실성’을 확보하려고 애쓰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우선 두 한국인 무슬림 여성의 가정 만들기 서사 구조를 일종의 통과의례 형식으로 간주함으로써, 그들의 삶에서 등장하는 리미널 상태의 중대한 차이점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을 시도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서사 속에서 ‘가정의 구성’, ‘자녀의 교육’, ‘거주의 방식’ 등이 취하는 서로 다른 모습을 고찰할 것이다. 이렇게 통과의례의 관점에서 두 여성의 가정 만들기 서사를 재구성함으로써, 우리는 어떻게 그들이 동화주의적 사고에 갇힌 국민국가의 가족 프레임 바깥에서 행복한 가정을 구성하는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home-making narratives of two Korean Muslim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rite of passage, and to explore how these two women envisage the image of happy family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life course. One of them is Aliyah who married a Muslim American after converting to Islam, and the other is Kim Ok Hwa who converted to Islam after marrying a Muslim Pakistan. Their families are not represented by the so-called ‘normal family’ frame of the nation-state because these two women chose a Muslim spouse and a Muslim religion in Korea. Nevertheless, they have tried to secure the family life that they wanted to build though undergoing conflicts with and sometimes compromising with adverse actualities. Paying attention to this context, first of all, we attempt to analyze the important differences existing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minal phases molded by the detachment from the former phase of their lives by regarding their home-making narratives as the form of rite of passage. Secondly, we sort out the different forms of ‘the making of home’, ‘the education of children’, and ‘the way of residence’ from their narratives. Our reformulation of their narratives as rite of passage is finally expected to reveal how two Korean Muslim women are realizing their dream of happy family outside the ‘normal family’ frame of the nation-state mired in assimilation id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 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