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Nurturing Experiences Mothers whose Children hav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Disorder)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4.02
29P 미리보기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66권 / 1호 / 191 ~ 219페이지
    · 저자명 : 최말옥

    초록

    본 연구는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체험을 통한 본질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면접은 2011년 10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약 10개월 동안 8명의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2~3회에 걸쳐 면접한 뒤 Van Manen(밴 매넌)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경험의 본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경계선 지적기능을 가진 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양육경험의 현상은 ‘못하는 아이에서 느리게 가는 아이로의 이해' 과정이었다. 양육경험의 본질은 ‘소유가 아닌 바라보기’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 의미는 Tennyson(테니슨)이 주장한 소유의 개념이 아닌 松尾芭蕉(바쇼)의 ‘바라보기’이다. 하지만 궁극적인 개념은 Goethe(괴테)의 존재의 개념에서의 ‘바라보기’이다.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둔 어머니들은 아동을 키우면서 자신의 틀 안에서 키우고 싶었지만 많은 갈등과 마음 속 전쟁을 치르면서 내 아이가 아닌 아동 그 자체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못하는 아이가 아니라 느리게 가는 아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엄마의 욕심을 내려놓고, 아이를 이해하며, 아이와 보폭을 맞추어 가면서 스스로의 존재에 대해서도 인식해야 함을 경험한 것이다.

    영어초록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are giving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thei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disorder. The core analytical strategy was to find out the essential meaning of caring their children. For this purpose, eight mothers were participated in depth interview, which conducted during October, 2011 through July 2012. The face-to-face interview repeated two or three times based on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interview suggested two major findings: changing mother’s view from raising retarded children to caregiving a child with growing-up substantially slow speed; the essence of nurturing experiences for mothers, whose children hav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as to watching with attention rather than advocating ownership. This result can be also found in Barshow’s concept of ‘watching’ rather than ‘possession’, which is suggested by Tennyson. However, the essential meaning of this concept was associated with ‘watching with care’, which was originated form Goethe’s notion of ‘existence’.
    Mother’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have reached a point of view: when creating a parent-child relationship, it was essential that the child was not ‘my child’, but was ‘a child’ per se. This typ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a result of giving up a desire that the child raised within mother’s boundary. It was also a result of psychological warfare and conflict in mother’s mind. To internalized this view, it is recommended that the mothers implement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first, the mothers put down overly-pushed motive toward their children; second, they enhanc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toward their child; third, it is necessary that the mothers build a new sense of existence through matching their level of concern with their child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