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루터 두 왕국론의 사회 윤리적 수용 (Socioethical acceptance of Luther’s two-kingdoms-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7.11
22P 미리보기
루터 두 왕국론의 사회 윤리적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57호 / 601 ~ 622페이지
    · 저자명 : 홍순원

    초록

    루터의 두 왕국론은 신앙과 현실로 대표되는 그리스도인의 두 삶의 영역을 암시한다. 두 왕국의 문제는 교회와 사회의 관계규정의 문제이다. 그것은 교회의 사회적 사명과 윤리적 기능을 함축하고 있다. 교회와 사회의 관계는 창조질서가 하나님의 주권 아래서 움직인다는 신학적 배경을 전제로 한다. 현재 안에서 지속되는 창조사역은 하나님의 왕국을 형성하며, 하나님의 보존은총 속에서 종말까지 나아가는 역사의 과정은 세상왕국을 형성한다. 두 왕국의 존재방식은 하나님의 칭의의 은총 아래서 용서받은 죄인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의 이중적 실존방식에 상응한다.
    율법의 하나님과 복음의 하나님이 구분되지 않는 것처럼, 두 왕국은 하나님에게 속해있다. 루터의 두 왕국론은 이중적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이원론적 사고를 지향하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의 섭리가 두 왕국으로 구분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무엇보다 세상이 죄에 감염되었으며, 하나님은 이 세상에서 창조주로서 활동한다는 사실에 있다. 그러므로 이 세상은 타락과 새 창조, 죄와 은총이 공존하는 이중적 질서를 형성한다. 현실은 옛 에온과 새 에온이 공존하는 시간적 교차점이다. 두 왕국이 현실 안에서 만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 현실은 두 시간 사이의 긴장영역으로 나타난다.
    교회의 과제는 사회 현실 속에서 빛과 소금이 되는 것 뿐 아니라 그 현실을 복음에 기초하여 해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루터의 두 왕국론에 대한 연구는 그리스도인의 자의식 안에서 일어나는 신앙과 현실, 교회와 사회의 분열을 극복하는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다. 그것은 구체적이며 타당한 윤리적 결단의 길보다는, 메타윤리적 의미에서 그러한 결단이 일어나는 윤리적 상황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의 길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Luther's theory of two kingdoms suggests two areas of christian life, which is represented as faith and reality. The problem of the two kingdoms is the subj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ociety. It implies the social mission and ethical function of the church.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ociety presupposes the theological background that the order of creation moves under the sovereignty of God. The creative ministry that continues in the present constructs the kingdom of God, and the process of history that proceeds from God's preservative grace to eschaton constitutes the kingdom of the world. The existential way of two kingdoms corresponds to the dual existence of christian, who is living as a forgiven sinner under the grace of God's justification.
    Two kingdoms belong to God, just as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God of Law and God. Even though Luther's theory of two kingdoms have a dual structure, they are not directed at dualistic thinking. The reason why God's providence appears to be divided into two kingdoms, lies first of all in the fact that the world is infected with sin, and God acts as a Creator in this world. Therefore, this world forms a dual order in which corruption and new creation, sin and grace coexist. The reality is the temporal intersecting point where the old aeon and the new aeon coexist. Just as the two kingdoms come across in the reality, this reality appears as a area of tension between two times.
    The task of church is not only to become light and salt in the social reality, but also to interpret this reality according to the gospel. In this sense, a study on Luther's theory of two kingdoms can be a theoretical basis for overcoming the divisions between faith and reality, and between church and society, which occur in the self-consciousness of christian. It stress not so much on the concrete and reasonable way to ethical decision, as in a meta-ethical sense on the way for Christian understanding of the ethical situation in which such a decision takes p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