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업시간 제한 및 의무휴업일 지정 규제의 대상이 되는 ‘대형마트로 등록된 대규모점포’의 요건에 관한 검토 - 대상판결: 대법원 2015. 11. 19. 선고 2015두295 전원합의체 판결 - (A Study on the Requirements of ‘Large - Scale Stores registered as Large - Scale Discount Stores’ subject to Business Hour Restrictions and Mandatory Holidays - Supreme Court’s Full Bench Decision 201)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6.03
40P 미리보기
영업시간 제한 및 의무휴업일 지정 규제의 대상이 되는 ‘대형마트로 등록된 대규모점포’의 요건에 관한 검토 - 대상판결: 대법원 2015. 11. 19. 선고 2015두295 전원합의체 판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가천법학 / 9권 / 1호 / 485 ~ 524페이지
    · 저자명 : 이현철

    초록

    대형마트를 운영하는 회사들은 2012. 1. 17. 「유통산업발전법」이 개정되어 지방자치단체장들로부터 영업시간 제한 및 의무휴업일 지정의 영업규제를 받자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하였고, 대법원은 2015. 11. 19. 선고 2015두295 전원합의체 판결로 지방자치단체장들의 대형마트에 대한 영업시간 제한 및 의무휴업일 지정 처분은 적법하다고 판시하였다. 위 대법원 판결에서 다수의견·반대의견·보충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한 논쟁의 쟁점은 대형마트 내에 입점하여 있는 용역제공 장소가 영업시간 제한 및 의무휴업일 지정 규제의 대상이 되는지와 관련하여 ‘대형마트로 등록된 대규모점포’의 요건에 관한 구 「유통산업발전법」 및 동법시행령의 해석에 관한 것이었다.
    위와 같이 대법원 전원합의체에서 다수의견·반대의견·보충의견이 나뉠 정도로 「유통산업발전법」 체계가 혼란스럽고 내용이 불명확하여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통산업발전법」상 용어인 매장·점포·시장 등에 대한 개념의 명확화, 대규모점포 등의 영업형태 분류의 현실화 및 체계화, 영업형태와 관련한 영업규제의 필요성 등이 반영된 입법 수정작업을 하여 대형마트의 용역제공 장소를 둘러싼 논쟁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유통산업발전법」의 입법취지에 반하여 특정한 영업형태를 규제하려는 것은 오히려 영업형태의 발전과 진화를 막는 결과를 초래하고 유통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므로 출점규제 내지 영업규제를 최소화 하여야 하는 방향으로 입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대형마트를 비롯한 대규모점포의 규제는 중소유통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경제적 목적 규제’가 아닌 외국 선진 입법례와 같이 환경, 교통, 토지의 효율적 이용 등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목적의 규제’로 전환하는 입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Companies running large-scale discount stores appealed against business hour restrictions and mandatory holidays from local government officials after the amendment to the「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on January 17, 2012, and the Supreme Court announced its full bench decision 2015두295 on November 19, 2015 that the measure to subject large-scale discount stores to business hour restrictions and mandatory holidays leveled by local government officials was legal. The controversial issue involving sharply opposing majority opinion, dissenting opinion, and concurring opinion surrounding the Supreme Court’s ruling was about the interpretation of the old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concerning the requirements of ‘large-scale stores registered as large-scale discount stores’ and whether the place of service provision within large-scale discount stores is subject to business hour restrictions and mandatory holidays.
    The system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is confusing and its contents are unclear, incurring many problems, to the extent that the supreme court’s full bench decision was divided into a majority opinion, a dissenting opinion, and a concurring opinion. To solve such problems, legislation amendments are necessary that clarify concepts of the terms shop, store, and market in the「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that make the business status of large-scale stores more realistic and systematic, and include business regulations regarding business conditions, so that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place of service provision within large-scale discount stores can be fundamentally resolved. Also, regulating certain types of business in opposition to the legislation intent of the「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obstructs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business conditions hampers the advancement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Therefore, legislation must proceed in a direction that minimizes retail or business regulations. Ultimately, the regulation of large-scale stores including large-scale discount stores must transition to a legislation with ‘socially purposed regulations’ aiming at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traffic, just as the legislation cases of advanced nations overseas rather than ‘economically purposed regulations’ aiming at protecting small-to-middle sized distribution busine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천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