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의 동아시아전략과 중국의 대응- 해상패권경쟁과 갈등을 중심으로 - (The U.S. Strategy in the Waters of East Asia and China’s response against it)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4.05
46P 미리보기
미국의 동아시아전략과 중국의 대응- 해상패권경쟁과 갈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 수록지 정보 : 중소연구 / 38권 / 1호 / 75 ~ 120페이지
    · 저자명 : 강병환

    초록

    동아시아에서 세력균형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중국의 굴기다.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 이후 2012년까지 연평균 9.8%의 성장을 해 온 결과 이미세계 제2의 경제대국이 되었다. 이러한 중국의 경제적 굴기는 중국이 지속적인 군사현대화의 길로 나아가게 만드는데 결정적인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중국의 경제군사 역량은 끊임없이 미국이 유지하고 있는 동아시아 해상의 패권에 도전하는형국으로 전개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대만해협, 남중국해, 동중국해, 서해상의 지역에서 미국의 개입을 방해한다. 그러므로 미국의 아시아로의 회귀는 필수적으로동아시아 해상에서 중미 간의 긴장을 조성할 것이다. 그리고 미국의 동아시아정책은 중국을 겨냥하여 전개되고 있다. 이는 평화시에는 중국의 해상활동 범위를 제한시킬 것이고, 전시에는 효율적으로 중국의 군사 및 경제활동을 봉쇄할 수 있다.
    이것은 동아시아 질서 상에서 중-미간의 긴장을 구성하게 한다.
    중국을 중심으로 한 해양패권 경쟁에서 미국이 가장 주요시하는 지역은 대만이며, 서해→남중국해→조어도(오키나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이 전략을 수행함에 있어서 오키나와를 발진 기지로 삼아서 아시아의 해양에서 일본과 협력하여 직간접적으로 중국과의 패권경쟁에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미국의 대중국 전략은 포위, 견제, 압박의 세 가지 형태를 띤다. 전체적으로 포위를 구사하면서76⋅ 제38권 제1호, 2014 봄지역의 실정과 환경에 따라 견제와 압박을 동시에 구사하는데 이 둘은 동시에 동원되면서 중미간의 패권전략이 마주치는 지역에 따라 미국의 대중국 해양패권전략은 견제와 압박이 상호 보완적이면서도 그 강도에 있어서 다르게 나타난다고 할수 있다. 본 논문의 핵심은 동아시아 해상 네 곳에서 중미 간 갈등을 서술하며그 긴장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아울러 미국의 대동아시아 전략에 따른 대중국정책과 그에 따른 중국의 대응전략을 고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U.S. hegemony and the rising of China in EastAsian sea. China and the U.S. have been entered into tensions in East Asia. Asia-pacific is experiencing a transformation, over the years, one can observe the shift in the global strategic focus to the region. The war onterror directed by the Bush administration led to the decrease of US presence in the Asia-Pacific region. Under the context of an influence growing Asia-Pacific, conducts of “reemphasizing US influence and presencein Asia” has been adopted by Barack Obama’s administration. In the one hand, the US has consolidated its traditional alliances, and has stressed the improvement of US-Vietnam and US-India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The efforts to rebalance has created a new situation in East Asia:Firstly, a shift in US strategic focus to East Asia has occurred simultaneously with the world’s growing focus in the region. Secondly, the regionaly small and medium-sized states are seeking balance between thegreat powers. Thirdly, the underlying frictions have emerged as disputes inthe region, such as the disputes in Diao-yu (Senkaku) Islands , South China Sea, Yellow Sea has emerged. These factors have constituted the disputes and frictions throughout the region.
    The US has declared its uncompromising sea supremacy, as to China,such a declaration over China was made for the first time regarding to theimportance of South China Sea to the territorial integrity of China as thecore national interest in March 2010. China has clarified the red lines of itsinterest in the Yellow Sea, East China Sea and South China Sea.
    This article hypothesizes that the US sea supremacy in the region has clashed with China’s national development. China’s rise has extended China’s capabilities beyond the economic sphere and into the territorial claims in the central Asian and eastern ocean regions. Yet The US retainsits vested interests from the traditional alliances system,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cold war, and is upholding it’s supremacy over the regional sea of which constituted US sea supremacy and providing the US foundational resources in exerting influences such as setting constraints on China’s power projection capabilities or conducting interdictions. The clash between the two states is essentially induced by the stead fast US regionalsea supremacy and expansion of China’s national strength of which thefeasibility was given by China’s rise.
    At this stage, the perspective of the Sino-U.S. future relations can bedivided into two views of optimism and pessimism. This paper argues thatthe two countries in the East Asian region have embrace more factors in conflict than in coop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