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반인 제작 유튜브 정치 동영상에 대한 제3자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Third-Person Effect toward Citizen-Generated Political Videos on YouTub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2.08
35P 미리보기
일반인 제작 유튜브 정치 동영상에 대한 제3자 효과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6권 / 4호 / 72 ~ 106페이지
    · 저자명 : 이선량, 김효정

    초록

    유튜브가 온라인 공론장으로 성장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일반인 제작 유튜브 정치 동영상에 대한 수용자 인식을 제3자 효과 이론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만 21세 이상 성인 300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신보다 타인이 일반인 제작 유튜브 정치 동영상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지각하는 제3자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제3자 효과는 메시지 바람직성을 낮게 평가할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개인의 정치 성향과 매체 정파성 인식에 따라 메시지 바람직성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수 성향 유튜브 이용자들의 메시지 바람직성 인식은 매체를 보수로 인식하거나 진보로 인식함과 관계없이 비슷하게 나타났고, 진보 성향 유튜브 이용자들의 메시지 바람직성 인식은 매체를 보수로 인식할 때 낮게, 진보로 인식할 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반인 제작 유튜브 정치 동영상에 대한 제3자 효과와 규제 태도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제3자 효과와 미디어 리터러시 필요성 인식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YouTube has emerged as a solid search engine by distributing diverse types of information. The political area is not exceptional; videos containing political information have been on the rise on YouTube, and the general citizens have formed public spheres online as they created and shared political videos. This study focused on users’ perceptions toward citizen-generated political videos on YouTube, based on Davison’s Third-Person Effect (TPE) theory.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Seoul citizens from age 21 to 69, and the result demonstrated the TPE. The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at the citizen-generated political videos on YouTube had a greater impact on others than on themselves. In addition, the respondents tended to show a high level of TPE when they perceived the messages were socially undesirable. Also, it was found that individuals’ message desirability perception was influenced by their political ideologies (conservatism or liberalism) and their perceptions of media partisanship (conservative, moderate, or liberal) toward the citizen-generated political videos on YouTube. Specifically, the conservatives showed a flat message desirability perception regardless of their media partisanship perceptions, while the liberals showed low message desirability perceptions when they thought the media was close to conservative partisan. In other words, the conservatives were not influenced by their partisanship perceptions toward a message when they judge the message was socially desirable or undesirable. On the contrary, the liberals tended to be influenced by their own partisanship perceptions when judging message desirability. Noteworthily, many previous studies verified substantial factors, such as ‘issue involvement’ and ‘hostile and favorable media perception,’ affecting the desirability perception of political messages. The result of this current study could be explained in a similar vein. First, the sample page of the citizen-generated political videos on YouTube contained political issues highly related to the government at that time. As the ruling party at the time of the survey was the liberal party, the liberal respondents may have been more involved than the conservatives. Also, the liberals may have been affected by the other factor such as ‘hostile media perception’ because 64% of them perceived the political videos on YouTube were close to conservative, 17% of them perceived them as liberal, and 19% of them perceived them as moderate. The imbalanced partisanship perception toward the citizen-generated political videos on YouTube may have affected the respondents to feel the media itself was ‘hostile media’. Finally,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TPE perceptions on media literacy and regulation attitudes. The results showed that those with the greater level of TPE perception were more likely to support the media literacy necessity.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PE perception and regulation attitudes was found not significant. That is, the respondents were more supportive of educating others on media literacy, rather than regulating the freedom of speech on YouTub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further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