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3국의 국외입양제도 전개 과정 연구 (The Unfolding of the Transnational Adoption Systems of the Three Asian Countries, China, Korea, and Taiwa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7.02
30P 미리보기
동아시아 3국의 국외입양제도 전개 과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리뷰 / 6권 / 2호 / 89 ~ 118페이지
    · 저자명 : 박정준

    초록

    한국과 중국, 대만을 비롯한 동아시아 3국은 아동을 국외로 입양 보낸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한국전쟁 이후 본격화된 한국 아동의 미국 입양은 인종과 문화, 언어가 다른 국가 간 ‘아동 교환’이 가능하다는 점을 증명해왔다. 한국전쟁 직후 ‘예외 상태’에서 임시방편으로 추진된 혼혈아동의 미국 입양 이후, 한국에서 60년 넘도록 국외입양제도가 아동복지의 방안으로 활용되었다. 한편, 1990년대 초반 국외입양제도를 본격 도입한 중국은 20세기 최대 입양송출국이던 한국의 전철을 답습한다. 중국에서는 한자녀정책과 남아선호사상으로 유기된 여아가 중국 내에서 입양되지 못한 채 국외로 입양되고 있다. 또한 대만에서는 경제 사정 악화와 미혼모 지원 부족, 비혈연 친족관계에 대한 반감으로 국외입양이 증가 추세다. 절대빈곤과 에이즈의 창궐, 자연재해, 불법입양 등으로 아동을 국외로 입양보내는 여타 입양송출국과 차별화된 국외입양 현상이 동아시아 3국에서 공히 나타난다. 오늘날 동아시아 3국에서는 미혼모 지원 부족과 남아선호사상, 한자녀정책이 입양송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점은 빈곤문제의 개선만으로 동아시아에서 국외 입양송출이 중단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초고령화 사회와 저출산 문제에 직면한 동아시아는 대부분의 입양수용국과 유사한 인구구조를 보인다. 국가 차원의 출산장려 정책을 실시하는 한국과 중국, 대만에서 국외입양이 지속된다는 점은 국가 재생산정책의 허점을 보여준다. 20세기 후반부터 동아시아에서는 입양인들과 원가족, 미혼모, 시민활동가를 중심으로 국외입양제도를 비판하는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영어초록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China, Taiwan are commonly known as “sending countries” for transnational adoption. Many Korean adoptees who had been sent abroad after the Korean War have formed multi-ethnic families where family members do not share common race or culture. The early phase of transnational adoption in Korea was almost similar to being an “exceptional state.” Nonetheless, the placements of the Korean children into foreign families have lasted for more than six decades. China had kicked off its transnational adoption in around the 1990s. Now China has become the principal “sending country,” as how Korea was in the 20th century. The One Child Policy in conjunction with preference for sons are said to be the main reasons why some Chinese parents relinquish their daughters. The transnational adoption in Taiwan is on the increase owing to its weakening economy and lack of social welfare that is designed with the intention of keeping single mothers reinforcing parenthood.
    Extreme poverty, AIDS pandemic, catastrophic natural disasters and illegal adoption networking are the main reasons for transnational adoption in other “sending countries” in Africa and Latin America, Southeast Asia. In contrast, non-economic factors are the principal reasons of transnational adoption in the East Asian countries. This fact indicates that it is not possible to solve adoption-related problems only by mean of economic development.
    The East Asian countries face severe aging population issues and the lowest fertility rates as many receiving countries. It is found that these countries try to solve the population crisis by way of helping families from falling apart. Nevertheless, numerous Korean and Taiwanese children, mostly abandoned by single mothers, are brought over from East Asia to be adopted by Western families. Tens of thousands of Chinese girls have been adopted by Western parents.
    The East Asian countries are boasting economic miracles, the transnational adoption phenomena reveals these countries’ backwardness in social welfare and their dependence on the West. Such social phenomena give rise to collective shame among some East Asians. Transnational adoption has been increasingly criticized in recent years as being unfair to both the adoptees and their birth parents. Adoptees and their birth families, activists make their voices heard recently. This is the very time we should be thinking about the changeover of transnational adoption syst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리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