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사회의 자녀 성선호 (Gender Preference for Children in East Asi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3.12
33P 미리보기
동아시아 사회의 자녀 성선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수록지 정보 : 가족과 문화 / 25권 / 4호 / 1 ~ 33페이지
    · 저자명 : 은기수

    초록

    동아시아 사회는 다양한 성선호를 보이고 있다. 강한 아들선호부터 무성선호 및 약한 딸선호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 사회의 자녀 성선호는 다양성이 특징이다. 이 연구는 2006년에한국, 일본, 중국, 대만에서 시행한 동아시아사회조사 자료 및 2010년 태국과 베트남에서 시행한 가족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00년대 후반,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걸친 동아시아6개 사회에서 자녀 성선호가 어떤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고, 한 사회 내에서 자녀 성선호는어떤 차별성을 보이고 있는지 분석하고 있다. 동아시아 6개 사회의 자녀 성선호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자녀 성선호는 동아시아 6개 사회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한다.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 베트남의 자녀 성선호는 분석 대상 사회 중 가장 강한 아들선호를 보여주고, 한국이 뒤를 잇고 있다. 그러나 일본과 태국은 동아시아 6개 사회에서 딸선호가 가장 강하다.
    대만은 자녀 무성선호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둘째, 자녀 성선호는 한 사회 내에서 성별로도 차이가 크다. 동아시아 6개 사회에서 남자는 여자에 비해 딸보다 아들을 더 선호한다. 심지어 남자는 여자에 비해 딸보다 자녀 무성선호를 택할 확률이 더 높다.
    셋째, 동아시아 사회에서 나이가 든 층일수록 딸을 선호하는 경향이 낮아진다. 특히 한국은 60대 이상의 고령층에서 아들선호가 뚜렷하다.
    넷째, 대부분의 분석 대상 국가에서 학력수준이 높아질수록 아들선호가 약화되고, 여아선호가 높아지는 경향이 보인다. 그러나 동일한 경향으로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다섯째, 동아시아 사회에서 아들을 선호하는 사람은 딸을 선호하는 사람에 비해서 더 권위적이고, 남자 중심적인 가족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집단적인 가족가치의 측면에서는 일본에서만 남자가 여자보다 아들을 선호하는 경우 더 집단적인 가족가치를 드러낸다.

    영어초록

    Gender preference for children in East Asian societies can be characterized as a diversity of preferences. Although son preference was strong and prevalent across traditional and agrarian societies, especially in Asian societies, it is also true that diverse gender preference for children has existed in East Asian settings.
    Employing East Asian Social Survey 2010 data for China, Japan, Korea and Taiwan,and data from Thailand Family Survey 2010 and Vietnam Family Survey 2010,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the following three subjects: Firstl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diversity of gender preference for children in East Asian societies.
    Secondly, gender, age, and educational differentials in gender preference within a society are examined in six East Asian societies. Thirdly, the significance of gender preference,especially son preference on family values is explored in this research.
    Our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six East Asian societies show the diversity of gender preference for children. Vietnam, especially Northern Vietnamese society is still a very strong son preference society. Korea is ranked as the second in son preference after Vietnam. Secondly, males are likely to prefer a son to a daughter in all six East Asian societies. This is true regardless of characters of gender preference in each East Asian country. Thirdly, age differentials in gender preference are not consistent across all six East Asian societies. In Korea, however, it is very clear that old generation still values son over daughter while youngsters are likely to prefer daughter to son. This dramatic age differential in son and daughter preference makes it possible for Korea to be a country of both son and daughter preference at the same time. Fourthly, highly educated people are more likely to be far away from traditional gender preference than lowly educated people. This tendency is more clearer in China than any other East Asian societies. Lastly, those of son preference are more likely to have authoritarian and hierarchical, and male-centric family values than those of daughter preference. However,son preference is not strongly related to collectivistic family values in East Asian societies.
    Only Japanese people who prefer son to daughter are more likely to be collectivistic than those of daughter prefer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