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完板 『홍길동전』 原刊本의 출현, 그에 따른 板本과 刊行의 문제 (The Appearance of the Original Copy of the Complete Edition of “Honggildongjeon(洪吉童傳)” and the Problems of Publication and Edition accordingly)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1.06
21P 미리보기
完板 『홍길동전』 原刊本의 출현, 그에 따른 板本과 刊行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9권 / 2호 / 193 ~ 213페이지
    · 저자명 : 유춘동

    초록

    유춘동, 2021, 완판 『홍길동전』 원간본의 출현, 그에 따른 판본과 간행의 문제, 어문연구, 190 : 193~213 새로 확인된 完板 『홍길동전』 36장본과 35장본, 경판의 낱장을 통해서, 완판 『홍길동전』의 刊行과 流通과 관련된 다음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확인했다. 완판 36장본은 完西, 완판 35장본은 完山 坊刻所에서 간행되었다. 두 종의 완판 『홍길동전』은 小說 販賣市場에서 競爭을 벌인 결과, 완판 35장본은 退出되었고 완판 36장본이 끝까지 살아남았다.
    완판 36장본이 출현한 시기는 1857년, 완판 35장본이 출현한 시기는 1890년경으로 보았다. 1840년대 무렵, 즉 19세기 중반에 간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경판 『홍길동전』의 行文을 완판 『홍길동전』에서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새 자료를 통해서 완판에서만 볼 수 있는 내용이 初期 경판 『홍길동전』에서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곧 경쟁에서 死藏된 초기 경판 『홍길동전』이 다른 지역으로 넘어가 復活했다는 證據라고도 이야기할 수 있다.
    새로 확인된 『홍길동전』 資料를 통해서 古小說 『홍길동전』 出版을 둘러싼 圖書 市場의 다채로운 모습을 확인했다. 따라서 여러 經路를 통해서 坊刻本 小說이 만들어졌을 可能性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newly identified Honggildongjeon (洪吉童傳. The Biography of Hong, gildong) was specifically confirmed through the 36 complete editions and 35 complete editions of the “Honggildongjeon” and the editions of the Gyeongpan, respectively.
    There are four known versions of Honggildongjeon,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o Wanpanbon(完板), these include the Gyeongpan (京板) edition printed in Seoul, the Anseong edition printed in Anseong, Gyeonggi-do, and the manuscript(安城板).
    However, the Wanpanbon version of Honggildongjeon, discovered this time, is the first original published in several later books. This is evaluated as evidence that Honggildongjeon was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estimated that 36 complete editions appeared in 1857 and 35 complete editions in 1890. This is because the passage of the Gyeongpan “Honggildongjeon”,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published around the 1840s, or in the mid-19th century, was found in the complete version of “Honggildongjeon”.
    The new data showed that the contents that can only be found on the complete plate existed from the early “Honggildongjeon”. This can be said to be is evidence that the early Gyeongpan “Honggildongjeon”, which was lost in competition, was moved to another area and revived.
    The newly identified “Honggildongjeon” data showed the diverse appearance of the book market surrounding the publication of the “Honggildongjeon” by the rumor of the accus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novel was created through various chann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