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게 정렬부인의 교지가 내렸다는가 하는 내용은 나타나지 않는다.5) 完板에 나타난 춘향의 신분에 나오는 춘향의 신분적 위치와 신분 이동의 양상은 의 그것과 대동소이하다. 양자간에 보이 ... 系의 대표 異本)이 지닌 個別性①장편이다: 의 특징은 20세기 이전에 창작된 춘향전으로서는 가장 장편인 점이다. 전체 분량은 경판본 중 가장 긴 분량인 35장본의 자수 35,000자
성과부분을 부연한 것이다. 이들 이외의 모든 방각본과 필사본, 활자본은 그 내용이 완판계에 속한다. 체제상으로는 京板系에 속하는 京板 20장본도 내용상으로는 完板系에 속한다. 이 두 ... 의 견해를 제시하면서 단골무가 아닌 창우집단이 더욱 연희자로 유력하다고 하였다.최래옥) 최래옥, 「판소리 연구의 반성과 전망」, 한국학보35, 1984, p212은 다음과 같은 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