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詩品』의 풍격미로 조명해 본 彛齋 權敦仁의 書畵美學 (A Study on Gwon, Donin’s Aesthetics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eauty of Gusto in 『Shipin(詩品, Poetry Criticis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6.11
29P 미리보기
『詩品』의 풍격미로 조명해 본 彛齋 權敦仁의 書畵美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33호 / 125 ~ 153페이지
    · 저자명 : 설경희

    초록

    彛齋 權敦仁(1783-1859)이 활동한 조선 말기는 性理學的 名分論이 쇠퇴하면서 北學이 전면적으로 대두된다. 그의 예술 활동은 그의 사상ㆍ정치적 활동과 연관하여 김정희와 교유하면서, 개방적인 학문관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차원 높은 그의 서화가 남겨져 있으나 그의 문집인 『彛齋集』의 유실로 인해 권돈인에 대한 연구는 그가 남긴 족적에 비해 아주 미미한 상태였다. 그러나 최근에 권돈인이 김정희에게 보낸 척독 모음집인 『彛阮尺辭』(일본 東洋文庫 소장)의 연구논문이 발표되면서 권돈인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권돈인의 척독집인 『彛阮尺辭』를 1차적 자료로 삼고, 그가『시품』을 애호하여 당시 예단의 시대미학을 이끌어 창도한 족적을 따라서 그의 서화미학을 ‘金蘭之交의 典雅美ㆍ謫居에서 형성된 雄渾美ㆍ문인화의 沖淡美’로 정리해보았다. 彛齋의 서화미학은 그가 법도에 맞는 겸허한 예법으로 처세하는 사대부였기에 자신의 자유로운 감정에 따라 창출된 자신의 人格美ㆍ氣韻美ㆍ生動美의 주관적 美感이 향수자에게 더욱 객관적으로 典雅하고 숭고하게 전달될 수 있었다. 또한 대자연과 교감하는 심미내부에서 우러나오는 무한한 역량으로 謫居 이후에는 온축된 雄渾美로 승화하였다. 彛齋는 천지만물의 존재법칙과 순환의 법칙에 따라 혹한을 겪으며 고통과 시련을 감내하고 이를 순환 속의 과정으로 받아들인 긍정적인 존재였기에 비장하고 숭고한 격조의 경계에 서서 인간의 이상적 가치를 보편적으로 표현하고, 찌들지 않은 영혼으로 자유롭고 평화로운 心意를 담는 沖淡美로 書畵 예술 세계를 펼칠 수 있었으며, 가슴에 내재된 풍부한 여운과 의미를 역사에 뚜렷이 남길 수 있었다.
    彛齋는 중국을 드나들면서도 사대사상에 치우치지 않고 조선말기 예단의 중심에서 시대미학의 주류가 되어 예술세계를 구축해 나갔다는 점은 높이 살만하다. 秋史의 추사체가 형성되기까지 많은 물심양면의 지원과 지지를 보내고, 추사의 사후까지 제자이자 莫逆之友로서의 義理를 지키는 모습은 그가 구현한 典雅美ㆍ 雄渾美ㆍ沖淡美의 서화미학과 그의 인품이 일치하고 있어 오늘날에도 귀감이 되는 드높은 예인정신을 잘 발휘하였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Ijae Gwon, Donin(1783-1859) lived, the Northern Studies has emerged as the justification of Neo-Confucianism decayed. His artistic activities have led to the forward-leaning view of literature in terms of philosophical and political activities by associating with Gim, Jeonghui. Thus, he left behind the elevated art works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but the studies on Gwon, Donin have been insignificant compared to his legacy due to the loss of the collection of his work, 『Ijaejip(彛齋集)』. However, the interest in Gwon, Donin has been rising recently along with the presentation of thesis about 『Iwancheoksa(彛阮尺辭)』, which was the collection of correspondence with Gim, Jeonghui.
    This study made 『Iwancheoksa(彛阮尺辭)』 as the primary source and categorized Gwon, Donin’s aesthetics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into three: The Classical and Elegant beauty of close friendship, the Grand and Vigorous beauty of living in exile, and the Harmonious and Pure beauty of literati paintings according to his legacy that has led the aesthetics of the times in the artistic community as he loved 『Shipin(詩品, Poetry Criticism)』. Because he was a scholar-official who conducted himself observing the proprieties, his aesthetics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could have elegantly and loftily conveyed the subjective sense of beauty such as beauty of personality, beauty of atmosphere, and beauty of vitality to appreciators. Furthermore, due to the infinite competence of communing with Mother nature, it has been sublimated to the Grand and Vigorous beauty after living in exile. Since he regarded the suffering or tribulation as the process of circulation by the law of existence and the law of circulation, he could have universally expressed human’s ideal values with a lofty elegance and achieved his artistic world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with the Harmonious and Pure beauty that contained a free and peaceful mind.
    Ijae has never been biased towards toadyism though he has often visited China. Also, he has supported Chusa both materially and spiritually until the style of Chusa’s calligraphy was established. Moreover, his attitude to keep fidelity as a pupil and as an intimate friend until Chusa passed away corresponded to his aesthetics, represented by the Classical and Elegant beauty, the Grand and Vigorous, and the Harmonious and Pure beauty, and his personality.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he exhibited his lofty artistic spirit that could become an example in these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