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내적인 측면을 중시하는 사의성(寫意性)에 커다란 의미를 두었다. 이러한 경향은 당시의 대표적인 서화가이자 평론가였던 추사 김정희와 깊은 관계가 있다. 김정희는 중국의 문물과 서화(書畵 ... )를 직접 접하면서 감식안(鑑識眼)을 키웠고, 옹방강(翁方綱) · 주학년(朱鶴年) 등 중국의 대표적인 문인서화가들과 교유하면서 이론적 기틀을 확립하였다. 이를 토대로 당시 화단 ... (歲寒圖)는 청건고아(淸健高雅)한 문기가 흐르는 작품으로서 추사 김정희는 「그림의 착상이 이와 같아야 형이에서 벗어날 수가 있다」고 칭찬하였다. 권돈인이 완당의 세한도를 본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