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형도 시의 주체 연구 (The Subject in Gi, Hyoung-do's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1.04
24P 미리보기
기형도 시의 주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34호 / 65 ~ 88페이지
    · 저자명 : 권혁웅

    초록

    이 논문에서는 기형도 시의 시적 주체를 살펴봄으로써 기형도의 시를 읽는 새로운 독법을 제안하고자 했다. 그동안의 기형도론은 공통적으로 그의 시가 ‘죽음’의 의미에 천착함으로써 염세적이고 비극적인 세계관을 내보였다고 결론지었다. 이것은 그동안의 화자 연구의 전제(시의 발언은 화자라는 가면을 경유한 시인 자신의 발언으로 간주될 수 있다) 때문인데, 이를 주체 연구(시의 발언은 시적 상황이 만들어내는 구체적인 목소리를 중심으로 유별되어야 한다)로 변환하면 기형도 시의 새로운 측면이 모습을 드러낸다. 기형도의 시집에서, 1부의 주체와 2∼3부의 주체는 상이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1부의 시들이 사회적, 역사적 대상을 겨누고 있다면 2~3부의 시들은 유년과 사랑 체험과 연관된 가족적, 개인적 대상을 품고 있다. 1부에서 비판적이거나 탄식하는 주체가 보인다면, 2~3부에서는 회상하거나 연민에 사로잡힌 주체가 등장한다. 전자가 산문적인 기사체로 시종했다면 후자에서는 번역체 운문이 시도되었으며, 전자가 알레고리를 위주로 하고 있다면 후자는 체험적이고 고백적이다. 1980년대에 시를 쓰기 시작한 많은 시인들은 ‘광주’로 표상되는 당대의 사회역사적 상처를 회피하지 않았다. 기형도 역시 자신에게 부여된 시대적 과제에 알레고리적 방법으로 대응했으며(1부에서), 유년과 사랑체험에서 극명하게 드러나는바 원체험으로서의 유토피아적 시공간을 1부의 세계와 맞세워두었다.(2~3부에서) 후자는 전자에 맞서 살만한 세상에 대한 꿈을 보존해야 할 이유가 되었으며, 전자는 후자와 대조하여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한 비극적인 소묘를 가능하게 했다. 이 두 가지 차원을 공히 염두에 둘 때, 기형도의 시가 펼쳐놓은 세계에 대한 올바른 접근이 가능해질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searches new method of reading his po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ject in Gi, Hyoung-do's poems. Gi, Hyoung-do's poems was evaluated that his poetic persona aims to expose the misery and overwhelming tragedy worldviews. Such analysis methods have no regard to the concept of the poetic subject. The terms of 'lyric self', 'persona' are used the most ordinarily. They roots the view that poetry is express of poet's emotion. The underlying assumption of this concept is that there are not different between 'I' on the text and real poet. However they are not the same. Analyzing his poems, I can find that the 'the subject' is used effectively to show the point in Gi, Hyoung-do's poems. 'The subject' is rooted on the viewpoint that poetry are not a simple linguistic autonomous construction but a specific discourse. What 'the subject' who lives in special context speaks is the poetry as a utterance.
    I examined that the process of a subject's self establishment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by the mode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structural of discourse. First, part Ⅰ, the subject is one who takes his/her place by criticizing the surrounding with lament. Second, part Ⅱ and part Ⅲ, the subject is one who takes his/her place by looking back to the past with sympathy. Gi, Hyoung-do's poems in the first group including the elaborate use of allegory. His poems in the second group are in a confessional mood. As a result of analysis of Gi, Hyoung-do's poems, I can look into way the poetic practise. The works of numerous poets show poetic figuration of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0's. Gi, Hyoung-do also responses to social challenges and copes with the political problems in 1980's through allegory(part Ⅰ). And the primal experience keep the utopia(part Ⅱ and part Ⅲ). In a nutshell, what is important is that both need to understand Gi, Hyoung-do's po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