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행실도계(行實圖系) 교화서(敎化書)의 전개와 충행위(忠行爲)의 추이 - 17세기 초기의 관찬(官撰) 교화서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분석을 통해 - (The Evolution of Haengsildo Series and Transition of Putting Loyalty in Practice ― Through the analysis of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東國新續三綱行實圖) Published by Joseon dynasty in the beginning of)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09.12
54P 미리보기
행실도계(行實圖系) 교화서(敎化書)의 전개와 충행위(忠行爲)의 추이 - 17세기 초기의 관찬(官撰) 교화서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분석을 통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51호 / 525 ~ 578페이지
    · 저자명 : 카네코 유우키

    초록

    임진왜란 직후 조선에서 忠은 어떠한 인물상 및 행위로 나타났는가. 그리고 그러한 인물상과 행위는 어떤 경위를 거쳐 형성된 것인가. 본고에서는 官撰敎化書인 『東國新續三綱行實圖』를 이용하여 이 문제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고찰에 있어서 행실도라고 이름 붙여진 일련의 관찬교화서들에 주목하였다. 우선, 전체 행실도 간의 관련 양상을 확인하고, 그 관계 속에서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이 차지하는 위치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에 근거하여, 세종대의 初刊『三綱行實圖』부터 『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 이르기까지의 충신도에서 강조된 충행위의 추이 양상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확인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역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충행위에 대해 실제로 기재된 기사를 이용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래의 사항이 밝혀졌다. 첫째, 행실도라고 불리는 교화서들은, 덕목을 忠ㆍ孝ㆍ烈로 유지하면서 간행 당대 조선의 旌表記事를 추가하는 전개와,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하면서 덕목을 삼강에서 오륜으로 늘려가는 전개의 두 계통이 있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은 전자의 終端이며, 후자의 終端인 『五倫行實圖』와의 관련은 적다. 둘째,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은 이전부터 그려져 온 충행위를 대체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나라나 임금을 위해 전장에서 죽는 力戰 행위를 처음으로 강조한 것과 간언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신하의 隱遁을 충행위로서 처음으로 기재한 것은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독자적인 특징이다. 결국, 행실도는 두 가지 전개계통에 근거하며 상호 관련을 가지는 일련의 교화서 군이며, 이를 행실도계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은 『오륜행실도』과 다른 계통의 終端이며, 충행위도 이 전개계통에서 대체로 계승되었다. 그러나 역점을 두는 곳이 바뀌고 새로운 충행위도 구비되었으므로, 강조되는 충신상도 이전과 달라지게 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otherwise just after Toyotomi Hideyoshi’s Invasion, How was loyalty for king drawn as a image or action? And what kind of process did they pass through? In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s this theme with referring to Dongguk- Sinsok-Samgang-Haengsildo(『東國新續三綱行實圖』) published by King Gwanghae. In this regard, we took particular note of some books for Confucian indoctrination named Haengsildo. At first, we checked that how Haengsildo books relate each other, then, also checked Dongguk’s position on their relationship. Second, we traced transition of act for putting loyalty accentuated on above relationship from King Sejong’s Samgang-Haengsildo(初刊『三綱行實圖』) to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Moreover, we analyzed the focused acts on articles in it mainly.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we can make following observation. 1: Haengsildo books, the groups for indoctrination of Confucian ethics, are related as two kinds of evolution line as below; one is that edited and evolved them by current Korean articles which topics are fixed the three bonds, those are loyalty, filial piety, or chastity, the other is that edited and evolved them by biographies in Chinese classics with expanding from the three bonds to moral rules to govern the five human relations, those are seniority piety (especially brotherhood) and belief between school friends (including master and pupil), and three bonds. Dongguk-Sinsok- Samgang-Haengsildo is the end of the former, and have little relativity with Oryoon-haengsildo(『五倫行實圖』) edited by King Jeongjoh positioned on the end of the latter. 2: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inherited previous contents about acts of loyalty from prior Haengsildos. Although it has two unique saliencies; one is desperate fight for King or dynasty(力戰) was put emphasis on there at first, the other is secluding oneself(隱遁) was provided as a new kind of putting loyalty in practice at the first time. Finally, Haengsildo group has their linkage based on two of evolutional lines. Therefore we can recognize them as Haengsildo genealogical series.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is the end of one kind of line without Oryoon-haengsildo, and almost took over acts for loyalty in existence. Although image of loyalists on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is differ from other Haengsildo’s caused by changing emphasis and taking on a new kind of putting loyalty on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