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매화시(梅花詩)․국화시(菊花詩) 연구 - 주제의식 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Doam(陶菴) Leejae(李縡)’s plum blossom poetry and chrysanthemum poetry - Focus on thematic consciousness aspect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8.09
26P 미리보기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매화시(梅花詩)․국화시(菊花詩) 연구 - 주제의식 양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51호 / 43 ~ 68페이지
    · 저자명 : 권진옥

    초록

    본 논문은 도암(陶菴) 이재(李縡, 1680-1746) 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그가 매화와 국화를 노래한 한시에 주목한 글이다.
    우선 매화시(梅花詩)와 국화시(菊花詩)가 영물시(詠物詩)로서 어떠한 이념적 사유를 지향하고 어떠한 문학적 가치를 지니는지 살펴보았다. 영물시의 성격은 탁물우의(託物寓意)로 규정할 수 있고, 그 가치는 『시경(詩經)』의 비흥(比興)과 같은 수사적 방법을 통해 지극한 이치를 천명하는 데 있다. 그렇다고 영물시가 하나같이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정신을 추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작자 자신의 내면의식을 영물의 대상을 통하여 내밀하고 핍진하게 표출하기도 하는데, 이 지점에서 영물시의 문학적 가치를 포착할 수 있다. 이재의 매화시와 국화시는 문예미로 통칭되는 시의 기교나 수사를 통해 영물의 대상을 형상화하는 측면에서는 그 문학적 가치를 찾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재의 도학적인 매화시와 국화시는 영물의 대상을 통해 자신의 이념적 지향을 상징적으로 드러내어 독자로 하여금 분명하게 이해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내면의식을 내밀하고 핍진하게 표출하여 스스로를 달래고 성찰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문학적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요컨대 이재의 매화시와 국화시는 영물의 대상을 통해 구도의 자세를 견지하거나 영물의 대상과 일체화하여 자기 연민과 성찰의 수단으로 삼는 등 영물시의 이념적 가치와 문학적 가치를 모두 추구하였다.
    2장에서는 이재의 매화시와 국화시를 개괄하였다. 이재는 총 45작품[38題45首]의 영물시를 창작하였는데, 이 가운데 매화와 국화를 노래한 작품은 총 25작품[21題25首]으로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창작시기를 보면 생애 전반에 걸쳐 창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1728년 용인(龍仁) 한천동(寒泉洞) 은거시절부터 만년에 이르는 동안 작품의 수가 차츰 늘어나서 1740년 이후에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다. 형식적으로는 연작시(連作詩)보다는 단형시(短形詩)를 주로 사용하였고, 절구시(絶句詩)와 율시(律詩)를 골고루 선택하였다. 특정 대상을 접하고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감흥과 의식을 읊는 영물시의 성격상 율시보다는 절구시를 선호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이재는 수십여 구를 할애하며 지은 배율(排律)을 다수 창작할 만큼 율시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완정한 연작시 형태는 아니지만 시기적으로 연이어 지어진 작품들이 다수 보인다.
    3장에서는 이재의 매화시와 국화시의 주제의식 양상을 ‘자연의 섭리를 통한 구도의 자세’와 ‘의인화를 통한 자기 연민과 성찰’의 측면에서 각각 규명하였다.
    이재는 매화의 속성에 기인하여 자연의 섭리를 체득하기를 기대하기도 하고, 매화를 통해 촉발된 자연의 섭리 자체를 체화하여 거기에 순응하는 자세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국화를 노래한 한시에서는 국화의 속성을 통한 구도의 자세를 형상화하였다. 『주역(周易)』을 기반으로 한 황중(黃中)의 이치를 국화를 통해 형상화하여 이를 체득하고 추구한 사실은 이재가 자연의 섭리를 통해 구도의 자세를 견지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재는 매화와 국화를 의인화하여 때로는 스스로를 위로하기도 하고 때로는 성찰의 계기로 삼았다. 마주하는 대상물의 현상적인 재현이 아니라 작자의 의식이 투영되어 인격적인 존재로 발현되는 대상물은 그만큼 작자와 대상물의 간극이 좁아지고, 좁아진 만큼 물아일체의 방향으로 작품의 시상이 내밀하고 핍진하게 그려진다. 이재가 시들어버린 국화와 이별하며 지은 작품은 객체화된 국화를 연민하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자신을 연민하는 것이고, 의인화된 국화가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훗날을 기약하는 것을 통해 자신을 성찰하고 국화처럼 희망을 잃지 않으려는 의지가 발현된 것이다.
    이렇듯 이재의 매화시와 국화시는 자연의 섭리를 통해 구도의 자세를 견지하고, 영물의 대상과의 공감과 일체화를 통해 스스로를 성찰하고 수양한다는 점에서 도덕적이고 도학적인 영물시라 규정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As a part of Doam(陶菴) Leejae(李縡)’s literature research, this paper focuses on poetry that he sang plum blossom and chrysan themum.
    The character of yeongmulshi(詠物詩) can be defined as takmuluui(託物寓意), this value is to express the ultimate reason through rhetorical methods. However, it is not that the all of yeongmulshi(詠物詩) are pursuing the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The inner consciousness of the author is expressed and displayed in a confidential way. Here, the literary value of yeongmulshi(詠物詩) can be found.
    His plum blossom poetry and chrysanthemum poetry symbolically expressed his ideological orientation, impressed the reader clearly, expressed his own inner consciousness, and comforted himself. In this respect, it is possible to find the literary value of his plum blossom poetry and chrysanthemum poetry. In short, his plum blossom poetry and chrysanthemum poetry have maintained the attitude of the seeking the truth through the objects and unified with the objects, making them the means of self-pity and self-examination. Therefore he pursued both the ideological and literary values ​​of yeongmulshi(詠物詩), Throughout his lifetime, he created plum blossom poetry and chrysanthemum poetry, in particular, the number of works ha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time of retirement until later years. He created a short form poem rather than a serial poem, and chose jeolgusi(絶句詩) and yulsi(律詩). Though it is not a perfect serial poem format, there are many works that are created in succession.
    In the last chapter, I examined the theme consciousness of his plum blossom poetry and chrysanthemum poetry, respectively studied in terms of ‘seeking the truth through the providence of nature’ and self-pity and self-examination through personification'.
    His plum blossom poetry and chrysanthemum poetry can be defined as moral and ethical yeongmulshi(詠物詩), in terms of seeking the truth through the providence of nature, and self-pity and self- examination through empathy and un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