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陶菴 李縡의 「代李太白魂誦傳竹枝詞」 일고 (A study about Doam(陶菴) Leejae(李縡)’s Bamboo branch poems(竹枝詞))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7.10
28P 미리보기
陶菴 李縡의 「代李太白魂誦傳竹枝詞」 일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23권 / 129 ~ 156페이지
    · 저자명 : 권진옥

    초록

    본고는 陶菴 李縡(1680-1746) 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그가 지은 科詩 작품 「代李太白魂誦傳竹枝詞」를 개관하고 그 주제사상을 고찰하였다. 특히 이재의 「죽지사」는 일부지만 12歌詞 가운데 「죽지사」로 현재까지 歌唱되고 있는데, 이는 과시로 지은 작품이 이후에 詩唱되고 가창되어 현재까지 대중적인 문학양식으로 자리매김한 일단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문헌의 기록을 상고하면 이재의 「죽지사」는 당대는 물론이거니와 조선후기까지 꾸준히 회자되었는데 심지어 중국에까지 전송되었다. 기록에 의하면 별도의 텍스트를 통해 전파되진 않았고 口傳만 되었던 것 같은데, 다행히 현전하는 일부의 필사본 자료를 통해 그 전모를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이재의 「죽지사」가 科詩選集에도 종종 수록되어 있는 사실을 감안하면 과시로서도 후대에 가작으로 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재의 「죽지사」는 구성, 압운, 평측 등 형식면에서 과시의 정격을 잘 준수하고 있다. 그 가운데 과시의 入題에 해당하는 “천지는 늙지 않고 달은 유구한데, 적막강산에 백 년 인생이로다.(乾坤不老月長在, 寂寞江山今百年)”라고 한 부분이 바로 현재 가창되는 「죽지사」의 첫 번째 사설이다. 이재의 「죽지사」 전체의 모습과 주요하게 사용된 전고를 살펴보면, 李白을 위시한 전고가 매우 빈약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申光洙의 「登岳陽樓歎關山戎馬」가 시어나 시구 거개가 杜甫 시를 근거로 하거나 변용하였다는 사실과 비교하더라도 매우 다르다. 이 의문점은 이백과 두보에 대한 이재의 태도와 무관하지 않다. 요컨대 이재는 이백의 혼령을 대신하여 짓는 과시를 지을 적에 두보의 工力처럼 수십 작품의 시어와 시구를 집구하고 인용하여 단련하기보다는, 이백의 才氣처럼 다양한 전고를 사용하여 이백 시의 주제사상을 구현하는 데 힘을 기울인 것이다.
    이재의 「죽지사」는 내용면에서 宋나라 黃庭堅의 「夢李白誦竹枝詞三疊」을 모델로 하여, 이백을 화자로 삼아 그 내면 심리를 핍진하게 묘사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 대체는 속세를 벗어난 은거 혹은 초월 지향이라는 주제사상 아래 애상과 처량의 정조가 흐르고 있다. 1단의 3-6구에서 신선의 자태와 인간으로서의 허탈함이 선명하게 대비되고, 結聯에 이르러서 다시 속세를 벗어난 초월 세계를 환기시키고 있다. 중간에 삽입된 풍류와 낭만, 회재불우의 고난, 나그네의 지독한 시름 등의 주제나 애상, 위로, 처량 등의 정조는 초월 세계를 더욱 갈구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평생 풍류와 낭만 속에서 유유자적 인생을 살다가 역경을 계기로 세상을 등진 이백의 행적, 송나라 황정견이 꿈에서 이백을 만나 「죽지사」를 세상에 전송한 일화 등을 고려하면, 이재가 「죽지사」를 초월적 세계에 대한 동경을 주제사상으로 엮은 이유가 납득이 간다. 그런데 이재가 「죽지사」를 지을 즈음 창작한 여타 한시를 살펴보면 같은 주제사상을 읊은 작품들이 다수 발견된다. 어렸을 때부터 젊은 시절에 이르기까지 개인의 참상은 물론이고 환로의 전변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터라 이 무렵 이재의 시는 그의 심상을 대변하고 있는데, 한결같이 속세를 벗어난 은거, 혹은 학문을 통한 초월 세계 지향 등을 주제로 삼고 있다. 이재의 「죽지사」는 특정한 試題에 맞추어 지어진 과시이기는 하지만, 이백에 대한 그의 추향 의식, 작품을 창작한 당시의 현실 상황과 맞물려서 「죽지사」의 주제사상과 정조가 구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As a part of literary studies about Doam(陶菴) Leejae(李縡), this study overviews his DaeLeebaekhonjeonsongJukjisa(代李太白魂誦傳竹枝詞) and examines themes. In particular, Leejae(李縡)’s Bamboo branch poems(竹枝詞) is one of the 12Gasa(歌詞), has been sung to date. This shows that Leejae(李縡)’s Bamboo branch poems(竹枝詞) has been sung later and placed in popular literary form to date.
    Looking at the records of the literature, Leejae(李縡)’s Bamboo branch poems(竹枝詞) was repeated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even spread to China. According to the records, it was not spread through the special text, but it spread through the mouth. Now we can see the whole picture through some of the manuscript data. In addition, Leejae(李縡)’s Bamboo branch poems(竹枝詞) is often included in anthology of the poetry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科詩), considering this fact, it was evaluated as a great work in later generations by the poetry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科詩) Leejae(李縡)’s Bamboo branch poems(竹枝詞) obeys composition(構成), rhyme(押韻), and pyeongcheuk(平仄) in terms of form. Among them,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Ipje(入題) is the first lyrics of Bamboo branch poems(竹枝詞) that are currently being sung. This work is based on Hwangjeonggyun(黃庭堅)’s MongLeebaeksongJukjisasamcheop(夢李白誦竹枝詞三疊) in the aspect of the contents, and it is a work depicting LeeBaek(李白)’s innermost psychology. The alternative content is the theme of retirement and transcendence, its base is the flow of sorrow and miserableness.
    However, if we look at other works when he created Bamboo Poems(竹枝詞), there are many works containing the same theme. In these days his works represents his mind because he experienced the individual devastation and the changes of life as an official in direct and indirect. The theme is one that is a retirement out of the world, or is a transcendental world through study.
    Leejae(李縡)’s Bamboo branch poems(竹枝詞) is a poetry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科詩), but the theme and emotion of this work were embodied in connection with the real situation and the respect for Leebaek(李白).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