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周易』이해를 통해 본 花潭 徐敬德의 處世觀 - 艮卦와 復卦를 중심으로 - (Hwadam Seo Gyeong-deok's outlook on art of living Examined through understanding on 『zhouyi』 - Focusing on Gangwae and Bokgwae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7.04
25P 미리보기
『周易』이해를 통해 본 花潭 徐敬德의 處世觀 - 艮卦와 復卦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88권 / 2호 / 185 ~ 209페이지
    · 저자명 : 황인옥

    초록

    花潭 徐敬德은 16세기의 處士型 학자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자연에서 사색하며 관찰을 즐겼다. 그는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진리에 대해 주체적으로 탐구하였다. 그는 정주학뿐만 아니라 북송의 소옹과 장재의 철학도 깊이 연구하여 자신만의 학문세계를 구축하려고 하였다. 그 결과 氣哲學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였으며, 조선 성리학사에서 理氣論의 논의를 심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산림에 은거하며 현실에 좌우되지 않고 好學하는 정신은 진리를 탐구하는 전통을 이루는데 한몫을 담당하였다.
    花潭은 『周易』을 중시하였다. 그가 復卦에서 復齋라는 호를 취한 것만 보아도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저술에서도 『周易』과 관련된 내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는 『周易』을 상수역학적 입장으로도 해석하였지만, 도덕적 수양과 실천, 그리고 정치적 이상을 중시하는 의리학적인 시각으로도 이해하였다. 花潭은 『周易』 에서도 특히 復卦와 艮卦를 중요시하였다.
    그는 天道의 원리를 復卦와 연결시켜 「冬至吟」과 「復其見天地之心說」을 통해 설명하였다. 모든 만물은 시작도 끝도 없는 영원한 움직임을 끊임없이 해나가고 있다. 이것은 ‘生生不息’하는 마음이며, 천지의 마음이다. 화담은 사람이 復의 이치를 알면 道는 멀지 않다고 여겨 復의 이치를 인간의 행위나 처세에 중요한 지침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그는 人道로서 艮卦의 ‘止’를 강조한다. 화담은 艮卦를 도덕적 수양과 실천의 원리로 삼았다. 그의 저술 중「送沈敎授序」에는 이러한 마음이 잘 나타나있다. 그침의 의미는 인간이나 자연현상에서 볼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특성이다. 그칠만한 때에 그치고 떠나야할 때 떠나야 하는데, 이때 ‘止’는 ‘時中’을 의미한다. 사람은 학문을 통해 ‘止’의 이치를 깨달아야 하고 그것이 학문을 하는 목적이라고 花潭은 말한다.
    花潭은 人道와 天道를 ‘時中之道’로 연결하고, 우주가 늘 일정한 법칙을 계속하는 復의 이치, 즉 天道를 깨닫고‘ 止’의 이치대로 人道를 실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는 이러한 이치를 그의 처세에서 중요하게 여기고 실천하였다. 그는 자신이 살던 상황에서 출사보다는 은거가 ‘時中’이라고 판단하고, ‘止’의 이치대로 그침의 삶을 선택하였다. 따라서 여러 번의 천거에도 출사하여 벼슬에 오르기를 거부하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출사하여 세상의 영욕에 휩쓸리기 보다는 은거하여 우주의 법칙에 순응하는 그침의 철학을 선택한 것이다. 그가 이러한 삶을 선택한 데에는 『周易』이 적지 않은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그는 『周易』에서 얻은 조화와 절제로서 자족하며 안빈낙도하는 인생관과 처세관으로 고고하고 청백한 삶을 살았다.

    영어초록

    Hwadam Seo Gyeong-Deok is a representative scholar who falls into the type of not serving the power. Since his childhood, he had enjoyed contemplating and observing in nature. Based on profound confidence in human nature, he tried to independently explore truth and be self-satisfied. Not only was he interested in study of Cheng Zhu, the then mainstream but he also studied deep into philosophies of Shao Yong and Zhang Zai in Northern Song to construct his own world of study. As a result, he established the theory on Qi philosophy and offered an opportunity to deepen discussion on Liqi theory in history of Joseon’s Neo-Confucianism. His spirit of enjoying study in forest played a role to form a tradition of exploring truth without being swayed by reality.
    Hwadam put emphasis on Zhouyi, which is well demonstrated from the fact that he took his pen name Bokjae (復齋) from Bokgwae (復卦) and it is also easy to see Zhouyi-related contents on his writings. Hwadam interpreted Zhouyi in an emblemo-numerology perspective but he understood it in a viewpoint of righteousness philosophy that emphasized moral cultivation, practice and political ideals as well. Hwadam regarded Bokgwae and Gangwae (艮卦) as particularly important among Zhouyi.
    He connected the principle in the way of Heaven with Bokgwae and explained that reason in his writings of Dongjieum (冬至吟) and Bokgigyeoncheonjisimseol (復其見天地之心說). All things are constantly making movements without either start or end. This is mind of ‘constant growth and development (生生不息)’ and that of heaven and earth. Reason in the world we live in is of constant repetition of Yin and Yang and the logic of Bok (復, repetition) continues. If one knows the reason of Bok, he will soon become enlightened but Hwadam thought that this reason of Bok also was an important guide in human action or art of living.
    In addition, he stressed ‘Ji (止, stop)’ of Gangwae as humanity. Hwadam regarded Gangwae as the principle of moral cultivation and practice. His idea is well presented in his writing of Songsimgyosuseo. The meaning of stop is the most universal feature observed from human or natural phenomena. One should stop and leave when he should. ‘Ji’ here means ‘timeliness’, which means that one should realize the reason of ‘Ji’ through study and it is the very purpose of one’s studying.
    Hwadam emphasizes that humanity and the way of Heaven should be connected with ‘truth of timeliness (時中之道)’; that one should realize the logic of Bok that the universe always follows certain laws, the way of Heaven and; humanity should be practiced as the reason of ‘Ji.’ He regarded this logic as highly important in his art of living and practiced it. In his own situations, he thought that a retired life was the ‘timeliness’ rather than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and selected the life of stop as in the logic of ‘Ji.’ Despite of many times of recommendations, therefore, he rejected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or entering the government but he devoted himself to study in a life in seclusion. He lived a retired life to practice the stop to adapt to laws of the universe rather than being swept away by world’s glory and shame caused by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Zhouyi is regarded having much impact on why he chose this life. He was self-sufficient with balance and moderation he learned from Zhouyi and led a detached and upright life with view of life and outlook on art of living by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