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의 1950년대 대한ㆍ대일 원조정책의 비교 -한국의 효율적인 ODA 정책을 위하여- (Comparative study on the 1950’s aid policy from USA to Korea and Japa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9.06
42P 미리보기
미국의 1950년대 대한ㆍ대일 원조정책의 비교 -한국의 효율적인 ODA 정책을 위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농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농업사연구 / 8권 / 1호 / 126 ~ 167페이지
    · 저자명 : 전운성

    초록

    한국과 일본은 세계 2차대전 이후 미국으로부터 많은 경제적 제도적 원조를 받았다. 특히, 한국은 한국전쟁으로 전국토가 파괴되어 미국으로부터의 경제적 원조는 전쟁피해를 복구하고 나아가 자립경제를 세우는데 일조하였다. 물론, 미국의 원조목적은 빈곤을 퇴치하는데 주목적이 있었으나, 경제적 자립을 통한 반공국가로서의 입지를 키워주는 데에도 있었다. 이는 일본에 대한 원조정책의 목적인 미국의 자본주의적인 제도를 이식시키는 과정과 맥을 같이하고 있었다.
    이렇듯 전후 미국에 의한 한일 양국에 대한 정책의 기조와 내용을 비교하면서, 미국에 의한 대한ㆍ대일 원조의 성격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시대 상황을 달리하고 있지만, 아시아의 경제강국으로 등장한 한일양국에 의한 개도국의 경제개발을 위한 대외원조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특히, 한국은 현재 원조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입장이 바뀌었음은 물론 OECD의 개발원조위원회(DAC)의 가입을 목적에 두고 있음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과거 미국이 한국과 일본에 행한 원조의 내용과 그 성격을 구명하여 현재 원조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발전한 한국의 원조정책이 개도국의 경제발전을 위하여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After the World War Ⅱ, Korea and Japan both got economic help from USA. Korean economy, after independence day at August 15th, 1945, started to regain stability from recession, but Korean War destroyed the fundamentals again. Because of USA’s aid, Korean economy was able to sustain the level of life that the economy is capable of.
    USA’s economic aid’s main purpose was indeed to save the poor country and had good intentions. Through their aid, Korea’s economic fundamentals of production and policies were made, and the effects of the aid were definitely positive. USA’s purpose for economic help to Japan was to give them the economic system that benefits USA’s capitalism.
    When looking at it economically, financial help and fixing policies is very important investment for supplier. Same as other investments, important is the immediate cost but the aftermath results after the investment. USA’s financial investment is hugely benefitting them by exporting goods and labors. Good example is Korea and USA’s exports to Korea for a year surpasses the investment they made back in 1950’s. Our country Korea is one of OECD members and have high international standards, the epochal change is required for foreign policy to financially help un-developed country.

    Key words: Marshall plan, USA’s aid policy, Economic recovery program, PL 480, Economic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농업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