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르투갈의 대(對)포르투갈어권 아프리카 국가 양자원조의 동인: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의 적용 (The driver of Portugal's Bilateral Aid to Portuguese-speaking African Countries: The Application of the Constructivist Paradig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2.02
30P 미리보기
포르투갈의 대(對)포르투갈어권 아프리카 국가 양자원조의 동인: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의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 수록지 정보 :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 19권 / 1호 / 107 ~ 136페이지
    · 저자명 : 정호윤

    초록

    전통적인 포르투갈 개발협력의 주요 특징으로 양자 원조가 대(對)포어권 아 프리카 국가에 상당한 수준으로 집중되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2012년 부터 2016년 사이, 포르투갈의 아프리카대륙에 대한 지원은 전체 규모 대비 약 78.9%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비록 최근 포르투갈의 ODA 규모의 축소로 인해 아프리카지역에 대한 지원 비중은 다소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나, 2019년 기준으로 대아프리카 ODA는 전체 지역 대비 70.1%를 기록하였다. 또 한, 2019년 기준 포르투갈의 원조를 받는 수원국의 순위를 살펴보면, 1위는 모 잠비크, 2위는 카보베르데, 3위는 기니비사우, 5위는 상토메프린시페, 7위는 앙골라 등 상위 10개 수원국 내에 포어권 아프리카국가가 5개가 포진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의 정체성이 행위자의 이익과 선호, 그리 고 행위를 구성한다고 주장하는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포르투갈의 대포어권 아프리카국가 ODA의 주요 동인을 국가 정체성이라는 변수를 중심 으로 조명하였다. 연구 결과, 포르투갈의 국가 정체성은 유럽통합의 물결과 과 거 대항해시대부터 현재를 아우르는 포어권 아프리카 국가와의 관계가 맞물 리는 역사적 흐름속에서 재구성된 것으로, 이는 결과적으로 포르투갈의 대포 어권 아프리카 국가에 대한 양자 원조 비중의 확대로 이어졌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포르투갈은 중견국(middle power)으로서의 규범선도국이라는 인식 의 제고, 그리고 유럽과 아프리카 사이의 다자주의적 중재자(mediator) 역할을 강화하면서 국가 위상 제고를 도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영어초록

    A major feature of traditional Portuguese development cooperation is that bilateral aid is concentrated at a considerable level in Portuguese-Speaking African countries. Between 2012 and 2016, Portugal’s aid for the African continent accounted for an overwhelming proportion of about 78.9% of the total amount. Although the proportion of ODA to the African region has been on a slight decline due to Portugal's recent reduction in the size of ODA, as of 2019, the ODA in Africa recorded 70.1%. In addition, looking at the rankings of the recipients of Portugal’s aid as of 2019, there are five Portuguese-Speaking African countries in the top 10 countries, including Mozambique, Cabo Verde, Guinea-Bissau, Sâo Tomé Principe and Angola. Based on the constructivist paradigm that postulates state identity constitutes the interests, preferences, and behavior of actors, this study examined the main driver of Portugal’s ODA to the Portuguese-speaking African countries, focusing on the variable of state identity. This study ultimately argues that the Portuguese state identity was reconstructed in the historical flow of the wave of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African countri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is led to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bilateral aid, aming to strengthen the awareness of Portugal as a norm-leading country as a middle power, and promote its role as a multilateral mediator between Europe and Africa, enhancing its national stat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