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國朝列聖御筆 所載 조선초기 국왕문서 - 太祖代 官敎와 世祖代 免役敎旨 - (The ancient documen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recorded in the Gukjo - yeolseong - eopil (國朝列聖御筆) - Gwangyo(官敎) issued in Taejo period and Myeonyeong - gyoji(免役敎旨) issued in Sejo period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2
21P 미리보기
國朝列聖御筆 所載 조선초기 국왕문서 - 太祖代 官敎와 世祖代 免役敎旨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48권 / 27 ~ 47페이지
    · 저자명 : 카와니시 유야

    초록

    근년에 들어 조선초기(14세기말-15세기말)의 고문서에 관한 논문이 점점 발표되기 시작하였지만, 연구의 진전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그 이유의 하나는 당시의 고문서 사례수가 너무 적어 심층적 분석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조선초기 고문서 연구의 심화와 발전을 위해서는 새로운 사례를 발굴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는 일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구 과제를 염두에 두면서, 조선초기 고문서 발굴 작업의 일환으로 일본 東洋文庫에 소장되어 있는 "國朝列聖御筆"에 게재된 2점의 고문서를 들어 그 성격과 내용을 살핀 다음, 문서의 진위를 검토하고자 한다.
    "國朝列聖御筆"은 朝鮮本 장서가로 유명한 일본인 前間恭作(마에마 쿄사쿠)이 일찍이 소장하고 있던 책이다. 본서는 조선왕조 역대 국왕의 御筆을 摹刻한 法帖이며, 17세기 후반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列聖御筆’이라는 서명을 지니는 책은 조선시대에 몇 종류가 간행되었지만, 본고에서 거론하는 고문서가 게재되어 있는 것은 동양문고 소장 "국조열성어필"이 유일하다.
    "國朝列聖御筆"에 보이는 2점의 고문서 중, 하나는 1393년(太祖 2)에 발급된 志英官敎이며, 또 하나는 1457년(世祖 3)에 발급된 道岬寺免役敎旨이다. 전자는 국왕이 僧人 志英을 禪師로 임명하는 官敎(임명교지)이며, 후자는 전라도 영암에 있는 道岬寺의 雜役을 減免토록 국왕이 관찰사와 수령에게 명한 교지이다. 道岬寺免役敎旨와 같은 내용을 지니는 世祖代의 교지는 龍門寺, 廣德寺, 開天寺 등에도 발급되었으며, 이들 사찰에는 지금도 原文書가 전존하고 있다.
    당시의 각종 사료를 참고로 하여 志英官敎와 道岬寺免役敎旨를 검토한 결과, 그 양식과 내용에 의심스러운 점은 보이지 않으므로, 이들 문서를 眞文書로 인정하여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志英官敎는 현재 확인되는 조선시대의 官敎 중 가장 오래된 사례이며, 또한 조선초기의 유일한 승인 임명문서로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한편 道岬寺免役敎旨는 世祖代에 道岬寺에도 잡역을 감면하는 교지가 발급되었다는 사실을 전하고 있으며, 당시 이 사찰의 위상을 고찰하는데 있어 중요한 사료이다.

    영어초록

    Although the ancient document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from the end of 14th century to the end of 15th century) have been under study during recent years, progress of the research seems to have limitations. One of the reasons is that cases of ancient documents at that time are so rare that it is hard to study them deeply. Therefore, it should be our highest priority to search and analyze new cases of ancient documents in order to deepen and develop the research of document issued in early Joseon Dynasty in the future.
    With this research task in mind, this study dealt with 2 copies of ancient documents included in the Gukjo-yeolseong-eopil (國朝列聖御筆) archived at Toyo Bunko in Japan to reveal its authenticity by investigat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as a part of excavation of ancient documents of early Joseon Dynasty.
    Gukjo-yeolseong-eopil is the book used to be collected by a Japanese, MAEMA Kyosaku(前間恭作). This collection of the handwritings by the kings of Joseon Dynasty is estimated to be publishedaround 17th century. There are several books titled "Yeolseong-eopil", but only Gukjo-yeolseong-eopil archived at Toyo Bunko includes the documents adopted in this study.
    One ancient document included in Gukjo-yeolseong-eopil is "Jiyeong-gwangyo"(志英官敎) issued in 1393, and another is "Dogapsa-myeonyeong-gyoji"(道岬寺免役敎旨) issued in 1457. The former one is the letter of appointment issued by the king to a monk, Jiyeong. The latter on is the letter for ordering to exempt Dogapsa from taxation by the king.
    By referring to other documents at that time and discussion, there is no doubt about the styles and contents of Jiyeong-gwangyo and Dogapsa-myeonyeong-gyoji. Therefore, the authenticity of these documents can be confirmed. Jiyeong-gwangyo is the oldest case during all the gwangyo confirmed during Joseon Dynasty era. In addition, it is highly precious as the only letter of appointment to a monk during early Joseon period. Dogapsa-myeonyeong-gyoji is also important since it was proved that the letter toexempt from taxation had also been issued to Dogapsa in the middle of 15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