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 필요가 있다. 즉 교지(敎旨), 분재기(分財記), 호구단자(戶口單子) 등의 고문서는 유일본으로서 역사연구에 있어 일차적인 자료로 관에서 편찬한 사료의 미비점을 보완한다는 점 ... .본론1.고신교지(告身敎旨)고문서 중에서 가장 흔한 것 가운데 하나가 고신교지(告身敎旨))이다. 고문서를 조사하다 보면 웬만한 양반집에서는 몇 장씩은 나온다. 비록 다른 고문서는 없 ... 등에게 자손의 영달로 인하여 후에 職이나 품계를 주는 追贈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외에도 교지의 종류에는 백패(白牌)), 홍패(紅牌)), 향리면역사패(鄕吏免役賜牌)) 등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