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 中期 儒ㆍ佛 논의에 대한 일고찰-韓愈와 宗密의 ‘人’說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fucian and Buddhist Discussions in the Mid-Tang Dynasty -Centering on “Humanity" Theory of Han Yu and Zong Mil)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0.02
28P 미리보기
唐 中期 儒ㆍ佛 논의에 대한 일고찰-韓愈와 宗密의 ‘人’說 논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32호 / 167 ~ 194페이지
    · 저자명 : 장병한

    초록

    한유와 종밀은 바로 당나라가 쇠락의 길로 접어들기 전의 격동기에 살았다. 유ㆍ불ㆍ도가의 사상 논쟁과 정쟁이 이어졌고, 불교는 자종교 내에서의 선과 교의 대립을 빚고 있었다. 이때 한유의 도가와 불가에 대한 비판과 유학의 부흥 의지는 그의 「오원」을 비롯한 「논불골표」에 잘 표출되어 있고, 종밀의 삼교 회통의 논리 체계는 그의 「원인론」에 잘 반영되어 있다. 이들 저작에는 당 중기 儒ㆍ佛 논쟁과 관련하여, 특히 ‘人’說 즉 人性ㆍ人道ㆍ修道에 대한 상호 논의가 집중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한유와 종밀은 동시대를 살았지만, 직접적인 교유관계나 논쟁을 벌인 적은 없다. 다만 종밀의 스승인 징관을 매개로 하여 상호간의 학문적 성향과 신상의 정황은 충분히 파악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한유의 「오원」과 종밀의 「원인론」의 선후 문제에 있어, 한유의 도ㆍ불에 대한 비판과 유학의 부흥 의지를 담고 있는 「오원」에 대한 대응적 차원에서, 불교학의 대표격인 종밀이 특히 天地人 三才 가운데서도 ‘人’說을 중심 화두로 하여 「원인론」을 저작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人’說의 상호 논의에 대한 관점 비고와 관련하여, 한유와 종밀의 유가와 불가 논쟁에는 인간의 본원 문제가 중심화두가 되고 있다. 이는 이전 시대 즉 위진남북조 시대와 수나라의 지배 사상이었던 도가와 불가에 대한 전반적인 반성과 개혁의 차원에서 인간의 본원을 다시 한 번 탐구해 보려는 노력의 일환에서 비롯한 것이다. 이에 한유의 人性ㆍ人道ㆍ修道의 이론 체계에는 전통 유학사상의 차별적 정서가 깊게 반영되어 성삼품론을 주장한 반면, 종밀의 불교학적 인성 이론 체계에는 『화엄경』에 기초하여 보편적이고 무차별적인 청정자성의 불성인 여래장을 내세우고 있다. 그렇지만 종밀의 이와 같은 三敎 회통의 기획적 의미에서는, 종밀이 불교의 敎와 禪의 회통을 기획했지만, 결과적으로 자종교와 자종파에 대한 우월의식에 기초한 자파 교리의 재정립에 목적을 두는데 치우친 면이 없지 않으며, 유ㆍ불ㆍ도 삼교회통의 논지 전개에도 또한 무리한 교리간의 통합을 추진한 면이 없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밀이 『화엄경』의 여래장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교선 일치와 삼교 회통을 기획했지만, 결국 시대적 흐름에 크게 부응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후 당말을 거쳐 북송 五子와 남송의 주자에게 계승되면서, 불교학은 지배이념에서 물러난 반면, 유학은 점차 동아시아의 통치이념으로 그 자리를 굳건하게 마련하게 된다. 특히 남송의 주자는 이전 한유의 성삼품설을 계승하여 氣質之性의 淸濁粹駁의 차별적 인성론을 주장함과 동시에 종밀의 화엄사상 즉 淸淨自性한 불성인 여래장 사상 체계를 반영하여 보편적인 本然之性을 내세우게 된다. 이러한 주자의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의 이원적 분리의 인성론 체계는 이후 동아시아의 지배적인 이념으로 자리 잡게 된다. 여기 주자의 인성론 수립에는 전시대 한유의 유학 부흥 의지와 종밀의 삼교 회통 노력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로 볼 때, 당 중기 한유와 종밀의 유불 논쟁이 가지는 동아시아의 종교 사상적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으며, 또 이러한 논쟁의 중심에 놓여 있는 「오원」과 「원인론」이 가지는 자료적 가치 또한 매우 주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Han Yu(768〜824) and Zong Mil(780∼841), who lived in Tang's mid-period 8th century to the early and middle 9th century, were born right after AnShi's Rebellion (755∼763), and died before and after the Hui-chang Persecution of Buddhists (842). These two scholars lived in the tumultuous era of Tang when the Chinese dynasty experienced the Hui-chang Persecution of Buddhists and then the Huang Chao Rebellion (875∼884) before it fell. Amid continued arguments and confrontations over Confucians, Buddhists and Taoists, Han Yu well expressed his criticism of Taoists and Buddhists, as well as his Confucian determination for revival, in his books, Wu Yuan (Five Principles) and Lun Fogu Biao (Memorial on the Buddha's Relics). Zong Mil's logic of three religions' harmony is well expressed in his book, Yuan ren lun (Inquiry into the Origin of Humanity). It is believed that Han Yu's Wu Yuan triggered the Zong Mil's Yuan ren lun to respond to it. In these two books, Confucian and Buddhist doctrines sharply confront each other over the contemporary "humanity" theory. Humans' fundamental issues lie at the heart of arguments of Han Yu and Zong Mil over Confucians and Buddhists. Han Yu, based on Confucian thoughts, deeply embraces unique sentiments of humanity, human way and discipline, while Zong Mil's Buddhist science upholds equality and fairness, namely, the thought of indiscrimination. As times shifted from the end of Tang, to Northern Song and Southern Song, Zong Mil's thoughts of indiscrimination and equality faded from the dominant thoughts, while Han Yu's discriminate Confucian thoughts were transferred to the Five Masters of Northern Song, and Cheng Zhu Neo-Confucianism of Southern Song, firmly establishing itself as the dominant thought of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