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匪懈堂四十八詠」의 출현식물이 조선시대 원예 관련서에 미친 영향 (The Appearance Plants in「Bihaedangsasippalyoung」and It's Effects to Floricultural Publications in Joseon Dynasty)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9.06
12P 미리보기
「匪懈堂四十八詠」의 출현식물이 조선시대 원예 관련서에 미친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7권 / 2호 / 1 ~ 12페이지
    · 저자명 : 노재현, 오현경, 한상엽

    초록

    ‘비해당사십팔영’은 인왕산 기슭 안평대군의 거처 비해당에서 읊은 48가지의 아름다운 경관으로, 그 주제와 소재는 근경의 ‘경관의 일부로서의 경물’과 ‘경물 자체’가 주 대상이다. 전체 48개 경관대상 중 38개(79.1%)는 초수화목(草樹花木)의 정원식물을 읊고 있으며, 8개(16.6%)는 정원시설과 정원 내 사육 짐승을 노래하고 있다. 시의 구성은 초수화목의 태생과 형태, 시간과 공간, 개화상태, 특정 의미와 공간, 형태와 의미, 수명과 색채, 의미와 형태, 화목과 초수, 조경석 그리고 유실수 등을 지시하며, 각각 4수로 구분되어 연작되는 정형적 규범성이 잘 나타나고 있다. 주대상 중 치자나무, 동백나무 그리고 유자나무 등은 현재도 서울의 노지에서 월동이 어려운 식물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온실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보온시설이 비해당에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비해당사십팔영’에 등장 식물을 조선시대 원예 관련서와 비교해 보았을 때, 수록 일치율은 양화소록 15종(75.0%), 지봉유설 10종(50.5%), 산림경제 21종(48.8%), 화암수록 28종(49.1%)으로 나타나고 있는바 거의 동시대 저작인 양화소록과의 일치율이 매우 높았다. 한편, 유박의 화목구품 중 1품과 2품에 해당되는 총 10종의 식물 중 9종이 등장하는 것으로 볼 때, ‘비해당사십팔영’에서 안평대군 등이 읊은 식물은 매우 품격 높은 식물이거나 또는 안평대군이 비해당사십팔영에서 읊은 초수화목은 이후 조선시대 품격 높은 상징 식물로의 지위를 확보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비해당사십팔영’에서의 소재 또는 주제가 되는 식물이 그 이후 원예 관련서에서도 중요하게 취급된 것은 일종의 식물 애배(愛培)에 대한 상고성(尙古性)으로 상고의 전거(典據)가 되는 꽃이나 수목과 관련 있는 인물, 고사의 중심이 되는 선인에 대한 윤리적 흠모와 연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고성의 전통과 관행 속에서 안평대군과 집현전 학자 등에 의해 주도되고 되풀이하여 차운된 ‘비해당사십팔영’ 속에 등장하는 수목과 꽃들이 사랑을 받고 양화소록을 비롯한 원예 관련서의 중요 식물로 등장하게 된 것은 자연스럽고 보편적 문화현상이 아닐 수 없다.

    영어초록

    ‘Bihaedangsasippalyoung(匪懈堂四十八詠)’ is 48 beautiful scenes sang in Bihaedang(匪懈堂), which is Anpyung-Daegun (Prince Anpyung, King Sejong's third son, 1418~1453)'s residence at the foot of Inwangsan(Mt), and the subject matters and the writing materials are mainly ‘object in the scene' and ‘object itself' of the short-range view. 38(79.1%) of 48 scenes in total are singing garden plants like trees and grass, flower plants, and 8(16.6%) are singing the garden facilities and animals bred in the garden. The composition of poetry shows the viviparity and shapes of the trees and grass, flower plants, time and space, the blossom, and the specific meaning and space, the shape and meaning, the natural life and colors, the meaning and shape, flower plants and plants, stones in landscape gardening and fruit trees, and it shows well the normativity of the through-composed fixed form by being divided into 4 poems respectively. Judging from the fact that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Camellia japonica and Citrus junos which is difficult to pass the winter on the bare ground of Seoul also nowadays appear as the main objects, it is estimated that the facility to keep it warm to be able to do duty as a greenhouse would have existed. On one hand, in compared with the Floricultural Publications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plants appearing in ‘Bihaedangsasippalyoung', the ratio identical to the plants recorded in it is 15 kinds(75.0%) of Yanghwasorok(養花小錄), 11 kinds(55.0%) of Chibongyusol(芝峯類說), 21 kinds(48.8%) of Sanlimkyungje(山林經濟), 28 kinds(49.1%) of Whaamsurok(花庵髓錄), and in particular, the ratio identical to Yanghwasorok which is almost the same age of writing is very high. On the other hand, judging from the fact that 9 among 10 kinds of plants in total which are relevant to 1 Pum(品: Class) and 2 Pum among a Whaamkgupum(花木九品) of Yoo Bak(柳璞), it can be deduced that the plants Anpyung-Daegun sang in ‘Bihaedangsasippalyoung' were very prestigious plants or that the trees and grass, flower plants Anpyung-Daegun sang in ‘Bihaedangsasippalyoung' made sure of their position as the prestigious symbolical plants of the Joseon dynasty after that. The fact that the plants to be the writing materials or the subject matters in ‘Bihaedangsasippalyoung' were treated to be important in also the Floricultural Publications after that is a kind of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ancient things of plant-loving cultivation, and is enough to show that it is connected with the ethical admiration for the persons relevant to the flowers or trees to be the authority of the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ancient things, for the ancestors who are central to historical facts. So, it is truly a natural and universal cultural phenomenon that the trees and flowers appearing in ‘Bihaedangsasippalyoung' imitated repeatedly after being led by Anpyung-Daegun and the scholars of Jiphyeonjeon(集賢殿: Hall of Worthies) in the tradition and practices of the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ancient things like this were loved and appeared as the major plants of Floricultural Publications, including Yanghwasor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