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성정당에 관한 헌법적 고찰 (A Constitutional Review on the Satellite Part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4.06
46P 미리보기
위성정당에 관한 헌법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25권 / 2호 / 1 ~ 46페이지
    · 저자명 : 음선필

    초록

    위성정당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현행 준연동형 선거체계는 사실상 병립형 선거체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거대정당에게 일종의 「합리적 선택」으로 간주된 위성정당은 선거과정이나 원내활동에서 기존 정당을 위한 외곽세력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에 대한 위법성·위헌성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 현행 정당 관련 규범체계에서 볼 때, 위성정당은 정당설립 자유와 정당의 헌법상 임무 수행의무 간 충돌 문제를 야기한다. 위성정당은 정당설립 자유의 보호영역의 경계(주변부)에 자리하는바, 일종의 규범적 사각지대에 처해 있다고 볼 수 있다. 위성정당 여부에 대한 판단은 자칫 정당설립의 자유 및 복수정당제의 제도적 보장을 훼손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헌법상 정당제도와 비례대표선거제의 요체를 중시한다면, 위성정당의 개념에 명백히 부합하는 경우 그 정당등록을 거부할 수 있다고 본다. 위성정당의 출현을 억제하는 직·간접적인 규제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일정한 규모의 정당에게 지역구후보자와 비례대표후보자를 반드시 추천하게 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정당 기호를 부여하지 않거나 선거보조금 지급을 제한하는 방안 등이 있다. 나아가 정당정치의 발전 차원에서, 정당의 비례대표국회의원후보자 명부 제출의 요건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정당이 비례대표국회의원후보자를 추천하는 때 중앙선관위에 선거일 전 1년까지 제출한 당헌 또는 당규로 정한 민주적인 절차에 따라야 하는 요건을 둠으로써 사실상 정당으로서의 활동을 1년 이상 지속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또한 정당 간 선거연합이 필요한 경우, 위성정당 대신에 명부연합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아예 위성정당이 필요하지 않은 국회의원선거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선거민주주의 및 정당정치 발전의 차원에서, 비례대표의석수 내지 전체 의석수의 증가를 전제로, 명실상부한 연동형 비례대표제(혼합형 비례대표제) 또는 전면적인(순수) 비례대표제로 나아가든지 아니면 종전의 병립형 선거체계(혼합형 다수대표제)로 복귀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With the emergence of satellite parties, the current electoral system named quasi mixed-membe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s in effect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a parallel electoral system. Satellite parties, which are considered a kind of "rational choice" by large parties, can be said to be an external force for existing parties in the election process and parliamentary activities. As a result, questions of illegality and unconstitutionality against them continue to be raised. In the current legal system related to political parties, satellite parties cause a conflict between the freedom to establish political parties and the constitutional obligation of political parties. Satellite parties are located on the border (periphery) of the protected area of ​​the freedom to establish political parties, but can be seen as being in a kind of normative blind spot. The judgment on the existence of satellite parties seems to be somewhat damaging to the freedom to establish political parties and the institutional guarantee of the plural party system. However, if we place importance on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party system and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oral system, it is considered that if a party clearly matches the concept of a satellite party, it can be refused registr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rect and indirect regulatory measures to suppress the emergence of satellite parties. One possible measure is to require political parties of a certain size to recommend district candidates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candidates as well, and if they do not, not to give them a nationally unified party symbol or to limit the payment of election subsidies. Furthermore, for the development of party politic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equirements for parties to submit list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candidates for the National Assembly. By making it a requirement that when a party recommends proportional representation candidates for the National Assembly, it must follow the democratic procedures set out in the party constitution or rules, which must be submitted to the Central Election Commission one year before the election, this will effectively require the party to continue its activities as a political party for more than one year. Instead of satellite parties, list alliances (apparentment) can be an alternative when an electoral alliance between parties is necessary. More fundamentally, the current electoral system for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changed into a new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satellite parties. For the development of electoral democracy and party politics, it is necessary to move into such alternatives as mixed-membe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or a full (pur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or return to the previous parallel electoral system (mixed-member majoritarian system), assum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eat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and the total number of the Assembly sea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