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 편찬·간행과 목활자의 조성 및 서지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Unho Im Jeongju’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Yunjidangyugo, His Composition of the Woodblock Types and Their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4.09
22P 미리보기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 편찬·간행과 목활자의 조성 및 서지적 특징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59호 / 43 ~ 64페이지
    · 저자명 : 강순애

    초록

    이 글은 운호 임정주가 편찬․간행한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와 간행에 사용되었던 목활자의 조성 및 서지적 특징을 밝힌 것이다. 운호(雲湖) 임정주(任靖周, 1727∼1796)는 조선 영․정조대의 성리학자로 학문의 연원은 조선 후기 율곡계(栗谷系)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기파(主氣派)이며, 스승은 둘째 형인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이고, 임윤지당(任允摯堂)은 그의 누이이자 학문적인 동지이다. 그는 임윤지당이 그에게 남긴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 초간본을 재편집하여 『녹문선생문집(鹿門先生文集)』을 간행하기 위해 조성했던 목활자로 간행하였다.
    목활자의 조성과 관련된 사항을 살펴본 결과 목활자 조성의 주관자는 임정주이고, 목활자의 일차 조성목적은『녹문선생문집(鹿門先生文集)』을 간행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조성처는 청산현이고, 조성시기는 임정주가 청산현감(靑山縣監)으로 재직하고 있던 정조 13년(1789)부터 정조 19년(1795)까지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 목활자는 조성자의 이름을 붙여 ‘임정주목활자’로 명명하였다.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의 간행에 사용된 ‘임정주목활자’의 서지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표집된 어조사의 샘플인 ‘지(之), 불(不), 기(其), 위(爲), 이(而), 야(也), 호(乎), 이(以), 재(㦲)’에서는 안진경의 필체를 근간으로 하여 그 특징을 잘 살려내고 있으며, 그중 어(於)자는 안진경이 즐겨 쓰던 속자인 어(扵)의 자형으로 쓰이지 않았고, 이(而)자의 마지막 삐침획과 재(㦲)자의 오른쪽 긴 파임획에서 멋부림의 기교가 나타났다. 임정주의 글씨체 중 멋부림의 독창적인 글씨체는 첫째, 세로획 또는 파임을 길게 해서 끝머리를 살짝 들어 올리는 듯한 기교를 부린 것들이 있는데, 칙(則), 씨(氏), 민(民), 아(我), 이(已) 등이고, 둘째, 필(必)자는 획순의 본래 순서에 관계없이 필획의 순서를 바꾸어 두 가지의 독창적인 글씨체를 구현하였으며, 셋째, 글씨를 쓸 때 여러 개의 점이 병렬하게 되면 같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몇 점을 반대 형세로 찍거나 자획의 방향을 바꾼 것은 안(顔)자, 솔(率)자 등이 있고, 락(樂)자는 좌측 부수 요(幺)에서 마지막 획을 생략해서 쓰기도 하고, 응(凝)자는 이체자로 표기한 것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향후 서지학 분야의 연구는 물론 인쇄문화사, 민간목활자 연구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brings to light the composition and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odblocks used to publish Yunjidangyugo(允摯堂遺稿), the work compiled and published by Unho Im Jeongju. Unho Im Jeongju(任靖周, 1727∼1796) was a Neo-Confucian scholar in Yeongjo’s and Jeongjo’s reign of Joseon, whose academic origins lay in the late Joseon Yulgok faction’s semiotics branch of cosmo-ontology. His teacher was his second older brother Nokmun Im Seongju while his elder sister Im Yunjidang was his academic companion. He re-edited the original manuscript of Yunjidangyugo left to him by Im Yunjidang, and published it with the woodblocks he had formed to publish Collected Works of Nokmun(Nokmunseonsaengmunjib).
    The woodblock types were created mainly by Im Jeongju with the primary purpose of publishing Collected Works of Nokmun. He composed them in Cheongsanhyeon during what is estimated as between the thirteenth year and the nineteen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1789∼1795) when Im Jeongju was serving as governor there. Consequently, the woodblock types were named “Im Jeongju Woodblocks” after their composer.
    An examination of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Im Jeongju Woodblocks” used in the publication of Yunjidangyugo reveals that the classical Chinese particle samples ji(之), bul(不), ghi(其), wi(爲), i(而), ya(也), ho(乎), i(以) and jae(㦲) were based on Yan Zhenqing‘s writing, skillfully reviving its characteristics. However, the character eo(於) does not use the simplified phono-semantic character as often used by Yan Zhenqing. Also, the last left-falling stroke of the character i(而) and the long right-falling stroke on the right side of the character jae(㦲) show great virtuosity. There are three original calligraphic styles in Im Jeongju’s writing. First, he shows virtuosity in elongating the vertical strokes or right-falling strokes and lifting the edge ever so slightly, as he does with characters such as chig(則), ssi(氏), min(民), a(我) and i(已). Secondly, he creates two unique kinds of writing by composing his own stroke order for the character pil(必) rather than following the original order. Thirdly, he avoided making the characters similar when several dots in the character lined up and so marked some dots in the opposite layout or changed the direction of the strokes as he did with the characters an(顔), sol(率) and others, and he omitted the last stroke for the left additional element yo(幺) when forming the character rak(樂) while writing the character eung(凝) as a variant form.
    This study will henceforward be used in the basic studies of bibliography as well as in those of the history of printing culture and folk woodblock pr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