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가족다움의 사회적 낙인과 대응 전략: 세월호 참사 단원고 희생학생 부모의 경험과 사회적 치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al stigma of 'befitting the bereaved' and strategies for the response;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the parents of the victims of Sewol Ferry Disaster from Danwon High School and )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11
39P 미리보기
유가족다움의 사회적 낙인과 대응 전략: 세월호 참사 단원고 희생학생 부모의 경험과 사회적 치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시민사회와 NGO / 18권 / 2호 / 151 ~ 189페이지
    · 저자명 : 유해정

    초록

    본고는 재난참사의 사회적 치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이를 위해 2차 가해 중 하나인 유가족다움의 사회적 낙인에 대한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의 대응을 다룬다. 참사 이후 유가족들은 진상규명을 위해 공적 논쟁에 장에 진입했는데, 사회적 권력에 의해 일상적 유가족다움과 탈정치화된 유가족다움을 강요받았다. 일상적 유가족다움이 일정한 감정, 태도, 행동을 강요하며 피해자의 무고함, 순수성, 도덕성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탈정치화된 유가족다움은 익명화, 순응화, 고립화를 통해 이들의 정치 참여를 억압하며 삶의 자율성과 존엄을 훼손해왔다.
    유가족들은 진상규명을 위한 전략으로 탈정치화된 유가족다움을 거부하고, 일상적 유가족다움에는 △내면화를 통한 검열, 단속 △사회적 고립, 패싱, 커버링 △사회적 자원화 △저항과 해체 등으로 대응해왔다. 권력에 대한 통렬한 통찰과 함께 △희생된 자녀 △4·16가족협의회 △애도하는 시민들과의 만남은 탈정치화된 유가족다움은 물론이고 일상적 유가족다움에 저항하고 이를 해체하는 중요한 동력으로 작동했다.
    유가족다움의 사회적 낙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유가족다움을 권력 작용의 산물로 접근하고 △진상규명 및 피해회복 등에 대한 유가족들의 권리를 보장하고 △유가족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이것이 기반이 될때 유가족과 고인의 명예가 회복되고, 무너진 사회적 신뢰를 재건해 삶이 회복되는 사회적 치유의 가능성이 열린다.

    영어초록

    The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ways of social healing for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study investigates the response by the bereaved of Sewol Ferry Disaster to the social stigma of 'befitting the bereaved', which constitutes a secondary violence.
    With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the bereaved families entered the realm of public controversy in order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truth.
    However, the families were forced by the social power to have attitudes that are regarded as befitting the bereaved in routinized and de-politicized terms. To be specific, the social power forced the bereaved families to have certain types of emotions, attitudes and behavior, on the one hand. It oppressed political participation by the families using such tools as anonymization, adaptation and isolation, thereby degrading their autonomy and dignity, on the other hand.
    Responding to this, the families of the victims refused to remain de-politicized as a strategy to find the truth.
    In order to fight against the routinized image of the bereaved, they took on a variety of strategies including censorship and regulation through internalization; social isolation, passing and covering; social resources strategy; and resistance and deconstruction.
    Such factors as victimized children, the 4.16 Family Association, and meetings with condolences-offering citizens, as well as severe insight into power, served as major power to resist and deconstruct not only the routinized but also the de-politicized image of bereaved families.
    In order to resolve the social branding of 'befitting the bereave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see the demand for attitudes that are regarded as befitting the bereaved as a product of power games. Secondly, it is needed to guarantee the right of the bereaved to truth revealing and damage recovery. And thirdly, a transition in social awareness is necessary towards the bereaved.
    When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dignity of the bereaved, along with that of the victims, will be recovered, and social trust that has collapsed will be reconstructed, upon which the possibility of social healing will be opened and accordingly life will be recov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민사회와 NGO”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