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달맞이꽃 종자유와 미강유로부터 효소적 합성한 재구성 지질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tructured Lipids from Evening Primrose Seeds Oil and Rice Bran Oil)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0.08
9P 미리보기
달맞이꽃 종자유와 미강유로부터 효소적 합성한 재구성 지질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39권 / 8호 / 1156 ~ 1164페이지
    · 저자명 : 김효진, 이기택, 이경수

    초록

    미강유(RBO)와 달맞이꽃 종자유(EPO)를 기질로 한 다양한 몰비율(1:3, 1:4, 1:5)을 가지고 효소촉매를 이용한 재구성 지질을 합성하였다. 달맞이꽃 종자유의 주요 지방산은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와 γ-linolenic acid(C18:3 n-6)가 각각 74.9%와 8.1%를 차지하였다. 비율별로 합성된 재구성 지질의 주요 지방산을 살펴보면 oleic acid, linoleic acid, γ-linolenic acid가 전체 지방산 조성의 88% 이상을 차지하였다. 합성한 재구성 지질은 γ-linolenic acid를 각각 7.2%(1:3)와 7.9%(1:4), 8.3%(1:5)로 함유하였다. 반응에 사용된 기질 및 합성된 재구성 지질의 TAG 조성을 reversed- phase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미강유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달맞이꽃 종자유의 주요한 peak인 LLL(trilinolein) peak는 감소하였고, 새로운 peak의 형성은 점차 증가하였다. 재구성 지질 및 반응에 사용된 미강유와 달맞이꽃 종자유의 α-, γ-, δ-tocopherol 함량을 분석한 결과, 미강유는 α-tocopherol과 γ-tocopherol이 각각 7.60, 2.11(mg/100 g)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δ-tocoph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달맞이꽃 종자유는 α-tocopherol 및 γ-tocopherol은 각각 13.36과 10.82(mg/100 g)를 나타내었다. Phytosterol 함량은 달맞이꽃 종자유가 744.49 mg/100 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미강유는 606.64 mg/100 g이었다. 한편, scale-up한 재구성 지질의 phytosterol 함량을 분석해 본 결과, 반응하기 전 campesterol, stigmasterol 및 β-sitosterol 함량이 3시간 반응 후 감소하였다. 이로써 필수지방산인 γ-linolenic acid를 함유한 재구성지질을 효소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영어초록

    Structured lipids (SLs) were synthesized by enzymatic interesterification with evening primrose oil (EPO) and rice bran oil (RBO) in a batch-type reactor. The interest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a water shaker for 24 hr at 55℃. Mixing speed was set at 200 rpm and Lipozyme RM IM (immobilized lipase from Rhizomucor miehei, 10% by weight of total substrates) was used as a biocatalyst. Rice bran oil and evening primrose oil were interesterified with various molar ratios (RBO:EPO, 1:3, 1:4, and 1:5 mol/mol). Reversed-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nnected with evaporative light-scattering detector was performed to separate the triacylglycerol (TAG) species of SLs. In the fatty acid analysis, γ-linolenic acid (7.9 mol%), linoleic acid (67.3 mol%) and oleic acid (13.2 mol%) were the most abundant fatty acids in the SLs. During 24 hr reaction, most of the reaction occurred within 3 hr. TAG compositions, tocopherols and phytosterols were also analyzed. In the TAG species analysis, LLL (ECN=42, L=linoleic acid) dramatically decreased when the reaction time increa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