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년 동안 글쓰기, 윤동주 산문 「달을 쏘다」 - 윤동주 연구·12 - (Writing for One Year, Yun Dong-ju’s Prose “Shoot The Moon” - Research on Yun Dong-ju : 12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9.04
28P 미리보기
1년 동안 글쓰기, 윤동주 산문 「달을 쏘다」 - 윤동주 연구·12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고와표현학회
    · 수록지 정보 : 사고와표현 / 12권 / 1호 / 167 ~ 194페이지
    · 저자명 : 김응교

    초록

    윤동주가 쓴 산문을 연구한 논문은 그리 많지 않다. 윤동주가 쓴 산문 「달을쏘다」를 분석하면 중요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사실은 윤동주가글을 어떻게 쓰는가 하는 점이다. 「달을 쏘다」를 보면 그가 문장 한 줄을 쓰기위해 거의 1년 이상 다듬고 고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윤동주는 1938년 8, 9월경에 쓴 기말고사 보고서를 쓴다. 이어 1938년 10월 수정 후 『조선일보』에 투고 한다. 그는 수업 시간에 쓴 글도 하나의 작품으로 여겼던 것이다. 이어서 1939년 1월 『조선일보』학생란에 「달을 쏘다」라는 제목으로 발표된다. 여기서 끝나지 않고 그는 「달을 다」에 나오는 구절을 확장시켜 1939년9월 시 「자화상」을 완성한다.
    이 과정을 통해 윤동주가 글 하나를 쓰면 그것을 산문과 시로 확장시켜 창작하는 1년 간의 글쓰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글의 뒷부분에 이르면 윤동주의강한 의지를 볼 수 있다. “죽어라고 팔매질”, “통쾌”, “꼿꼿한”, “띠를 째서”, “탄탄한 갈대” 등 이 산문의 앞부분에서 볼 수 없었던 강한 역동성(逆動性)을 보이는 표현이다. 이러한 의지를 잔혹한 낙관주의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 산문을 그냥 읽으면 단순한 센티멘탈리즘 글 같지만, 글의 내면에는 강한 의지가 보인다. 「달을 쏘다」는 어두운 밤으로 표상되는 시기에 윤동주가 어떻게 글을 썼는지 그의 글쓰기와 그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독특한 글이다.

    영어초록

    There are not many papers that have studied Yun Dong-ju’s written prose. An important fact can be confirmed by analyzing Yun Dong-ju’s prose “Shoot the moon”. The most important fact is how Yun Dong-ju writes. “Shoot the Moon” shows that he has fixed for almost One year to write a sentence line.
    Yoon Dong-ju writes a report on the final exams written around August and September, 1938. After the revision in October, 1938, He sent the article to “Chosun Ilbo”. He also considered writing in class as a work. Then, This proese was published in January 1939, “Chosun Ilbo” student column, “Shoot the Moon” is announced under the title. Without ending here, he expanded the passage in “The Moon Filled,” and in September 1939 he completed the poem “Self Portrait”.
    Through this process, Yun Dong-ju could write a single article and write it for one year to expand it to prose and poetry. At the end of the article, Yun Dong-ju’s strong will can be seen. It is a strong dynamism which can not be seen in the front part of the prose, such as “to die, to die,” “excitement”, “upright”, “sash” and “solid reed”.
    We have seen this will in terms of Cruel Optimism. If you read this prose simply, it seems like a simple sentimentalism, but you see a strong will in the inside of the writing. “Shoot The Moon” is a unique piece that can be read by Yun Dong-ju about his writing and his will at a time when he is represented as a dark n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고와표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