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재적 단서로서의 히트상품선정이 속성에 대한 신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관여도와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onsumer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Responses to Hit Product Awards as Extrinsic Cue: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Typ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08.12
33P 미리보기
외재적 단서로서의 히트상품선정이 속성에 대한 신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관여도와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학회
    · 수록지 정보 : 마케팅연구 / 23권 / 4호 / 71 ~ 103페이지
    · 저자명 : 이태민, 김대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히트상품 선정정보가 소비자의 인지적 반응(속성에 대한 신념), 감정적 반응(제품에 대한 태도), 행동적 반응(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히트상품 선정여부가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제품관여도(고관여/저관여)와 제품유형(탐색재/경험재)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히트상품 선정정보는 속성에 대한 신념, 제품에 대한 태도,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영향력은 고관여 제품보다는 저관여 제품, 탐색재보다는 경험재의 경우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Previous research on the Hit Product Awards have addressed only consumers' cognitive responses such as perceived quality and attribute evaluation. We attempt to address the comprehen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Hit Product Awards and consumer responses by examining the impact of Hit Product Awards on consumers' cognitive response (belief toward attributes), affective response (attitude towards advertised product) and behavioral response (purchase intention of advertised product). Especially, the authors have focu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the product involvement (high vs. low) and product type (search vs. experience).
    This study utilized an experiment that manipulated the Hit Product Awards, the product involve- ment, and the product type, thus resulting in a 2 (nominated vs. not nominated) 2 (high vs. low involvement) 2 (search vs. experience product)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s treatment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and pretest results, the following products were selected for the main experiment : mobile phone for search goods with high involvemnet, medical service for experience goods with high involvement, juice for search goods with low involvement and hand cream for experience goods with low involve- ment.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a 222 analysis of covariance with product knowledge and prior attitude as covariat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 that Hit Product Award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belief toward attributes, attitude towards advertised product and purchase intention of advertised product. This results imply that the Hit Product Awards impact consumers' comprehen- sive evaluation process. This study have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 responses towards the Hit Product Awards as an extrinsic cue.
    The empirical results also support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type on the Hit Product Awards-consumers' responses relationships. The impacts of Hit Product Awards on the consumer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responses are greater for low- involvement product than for high-involvement product. This study makes a theoretical contri- bution to marketing literature by empirically validating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involvement in the Hit Product Awards-consumers' responses relationships.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take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by paying attention to the attribute-specific information in the case of buying high-involvement product. In contrast, the heuristic evaluation is more common in the case of low-involvement product. Therefore, the Hit Product Awards as an extrinsic cue is more influential for the low-involvement product than for high-involvement product.
    Another interesting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 impact of Hit Product Awards on the consumer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responses are greater for experience goods than for search goods.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consumers depend more on extrinsic cues than intrinsic cues whenever evaluating a product’s quality is difficult. Our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Hit Product Awards could serve as extrinsic cues during the product evaluation process especially in the case of purchasing experience goods. Experience goods are characterized by greater uncertainty because there is limited cues for information process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it Product Awards could serve as a mechanism to reduce uncertainty especially for those who are considering purchase experience goods. The asymmetric impact of the product type on the Hit Product Awards effect suggests that Hit Product Awards as extrinsic cue is more useful for experience goods than for search goods.
    Not unlike other empirical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by a number of factors, many of which can be addressed in further research. Firs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Hit Product Awards as information cue. However, previous literature has suggested that consumers use multiple cues during the product evaluation process.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not be generally applicable to actual product evaluation process. Further research could examine this issue in an experimental setting by manipulating the multiple cues including the intrinsic and extrincsic cues. Second, this study did not include multiple products for each experimental condition. Subsequent research could address this issue by conducting the experiment for multiple produ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마케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