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수자운동으로서의 기자단교육의 성과와 대안적 방향 모색: 이주민의 목소리 내기 관점을 중심으로 (Migrant Journalist Education’s Outcomes and Alternatives as a Minority Movement: Focusing on Migrants’ Raising Their Voic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7.06
32P 미리보기
소수자운동으로서의 기자단교육의 성과와 대안적 방향 모색: 이주민의 목소리 내기 관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1권 / 3호 / 87 ~ 118페이지
    · 저자명 : 정의철

    초록

    ‘MWTV(Migrant World TV)’는 2016년 기자단교육을 실시했다. 기자단교육은 교육과정과 교육 후의 방송 참여를 통해 이주민이 시민기자, 주민기자로서 취재와 기사쓰기, 의견 개시와 공유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주체가 됨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기자단교육을 수료한 이주민과 선주민 및 MWTV 관계자와의 인터뷰와 현장관찰 및 대화를 통해 현상 묘사뿐 아니라 비판과 해석, 대안 제시에 비중을 두었다. 연구결과, 기자단교육은 이주민과 선주민이 함께 참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서로의 정체성과 문화, 이슈를 이해하는 장이 되고 있었다. 5년 만에 재개된 MWTV의 5기 기자단교육은 전문화, 체계화된 교육과정을 갖추고 있었고, ‘아래로부터(bottom up)의’ 참여를 바탕으로 한 수평적인 교육방식을 갖추고 있었다. 특히, 10주 동안 매주 언론, 이주, 인권, 미디어 분야의 전문가들이 강사로 나와 전문성과 현장성을 갖춘 교육을 실시했고, 교육에 참여한 이주민들은 강의를 열심히 듣고, 질문도 하는 등 관심과 열기도 높았다. 이들은 교육과정과 교육 후 MWTV 웹진이나 홈페이지에 이주민 관련 이슈나 정책에 대해 뉴스나 칼럼을 게재하고 있었다. 이주민들은 거주지, 직업, 나이와 법적 지위, 출신국은 달랐지만 기자단교육과 이와 연계된 취재와 기사 게재를 통해 일종의 ‘디지털 공동체’와 ‘공론장’을 구축하고 있었고, 이 공동체를 통해 그들의 다양한 문화와 이슈들이 소통되고 있었다.

    영어초록

    MWTV(Migrant World TV) carried out a migrant journalist education in 2016. The migrant journalist education aimed to make migrants active communication actor as civic journalist and resident journalist through collecting news, news writing as well as opinion presentation and sharing based on education processes and broadcasting participation. This research focused on not only describing but also critiquing and providing alternatives based on interviewing with migrants and indigenous peoples, who finished the journalist education, as well as MWTV people. Findings suggest that the journaist education is a natural field of mutually understanding identities, cultures and issues based on migrants’ and indigenous people’s participation. This 5th migrants journalist education, which resumed in 5 years, provided more specialized and systematic education curriculum, and horizontal education method based on a bottom up participation. For 10 weeks, experts on journalism, migration and media provided professional education and migrant participants tend to listen carefully to lectures and ask questions as well. Migrants published news or columns in the MWTV webzine and on the MWTV homepage during and after the education period. Although migrants are diverse in terms of their residential districts, occupations, ages, legal status and hometown, they build a kind of ‘digital community’ and ‘public sphere’, and communicate their various cultures and issues through this community, based on the journalist education and its related collecting news and article publ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