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玄牝’에 관한 內丹的 考察 (A Study on the Inner Alchemy of ‘Hyeonbin(玄牝)’)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7.05
26P 미리보기
‘玄牝’에 관한 內丹的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46호 / 147 ~ 172페이지
    · 저자명 : 이근철

    초록

    ‘玄牝’은 玄關이라고도 하는데 內丹 수련에서 매우 중요한 용어이다. 현빈이라는 용어는 『道德經』 6장에 처음 보이는데, 이에 대한 해석이 관점에 따라 다양하다. 河上公은 ‘玄’은 하늘인데 사람에 있어서는 코에 해당되고, ‘牝’은 땅인데 사람에 있어서는 입에 해당된다고 말하고 있다. 즉, 현빈은 하늘의 기운과 땅의 곡식을 받아들이는 생명의 문이라는 것이다. 想爾註는 玄牝을 각각 하늘과 땅, 남자와 여자에 비유하면서 도교 양생술의 ‘精→氣→神’의 기본적 원리를 담아 양생술의 방법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에 비해 王弼은 ‘谷神’의 의미를 중요시하여 만물이 이루어지되 형상을 볼 수 없는 지극한 존재로서 이름을 지을 수가 없으므로 현빈이라 한다고 하였다. 결국 『도덕경』 6장에서의 ‘현빈’이란 계곡의 신처럼 죽지 않고 영원하며 천지만물을 잉태하고 탄생시켜 자라게 하는 현묘한 여성성을 가진 개념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중국 內丹書 중에서 ‘현빈’을 찾아볼 수 있는 것들은 매우 많은데, 그 의미는 유사하지만 구체적인 표현은 다양하다. 현빈에 대해 어떤 내단가는 ‘하단전’이나 ‘중단전’으로 보기도 하고, 어떤 내단가는 몸 가운데를 관통하는 經脈이라고도 하며, 어떤 내단가는 형체상의 關竅가 아니라 몸과 마음의 중심이라고 말하는 등 차이가 있다.
    한국 內丹書 중에서 ‘현빈’을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는, 조선 명종 때 지었다고 알려진 鄭 의 『龍虎祕訣』과 1920년에 출판된 全秉薰의 『精神哲學通編』이 눈에 띈다. 정렴은 ‘玄牝一竅’를 얻게 되면 백가지 구멍과 모두 통하게 되며 수련의 시작이라고 하였다. 전병훈은 여러 내단서에서 언급한 ‘현빈’에 대해 인용한 후 神氣를 연마하는 穴이라고 하면서, 인체 내의 상ㆍ중ㆍ하단전을 연결하여 眞氣가 유통하는 경로로 보고 있다.
    결론적으로 내단 수련에 있어서의 ‘현빈’은 그 중요성이나 역할에 대해서는 유사하게 인정하고 있으나 그 형상이나 위치에 대해서는 내단가들의 경험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대체로 大周天 이상의 수련에서 나타나는 ‘상체 한 가운데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經脈’으로 보는 것이 무리가 없을 것이다.

    영어초록

    Hyeonbin(玄牝) is also called "hyeongwan(玄關)". It is a very important term in the inner Alchemy. The term 'hyeonbin(玄牝)' is seen for the first time in Chapter 6 of Tao Te Ching(道德經). The interpretations regarding this are diverse according to the viewpoint. Hasanggong(河上公) says that ‘hyeon(玄)’ is the sky and, with regard to a person, it pertains to the nose. And it says that ‘bin(牝)’ is the ground and it pertains to the mouth with regard to a person. Or, in other words, it is that hyeonbin(玄牝) is a door of life that accepts the energy of the sky and the grains of the earth.
    Compared to this, Wangpil(王弼) considered the meaning of ‘Gokshin(谷神)’ to be important. It is said that, as a utmost existence that cannot see the shapes and the forms although everything is made, because no name could be given, it was called "hyeonbin(玄牝)".
    It can be said that, eventually, ‘Hyeonbin(玄牝)’ in Chapter 6 of Tao Te Ching(道德經) speaks of a concept that possesses the profound femininity which does not die and is eternal like the spirit of a valley, gestates, gives birth to everything under the sun, and makes them grow.
    There are many writings for inner Alchemy from China where ‘Hyeonbin(玄牝)’ can be found. Although the meaning is similar, the specific expressions are diverse. Regarding hyeonbin(玄牝), Hasanggong(河上公) and the others see it as an organ that inhales and exhales the energy, most of the inner Alchemy trainer see it as an organ where the energy gathers in and is kept. However, regarding the figuration of hyeonbin(玄牝), the einner Alchemy trainer see it as a 'hadanjeon(下丹田)' or a 'jungdanjeon(中丹田)' and also say that it is a radial passage that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body. And, what is more, there are the differences, including that it is the center of the mind and the body and the others of the like instead of being a bolt hole in terms of the shape.
    Among the writings for inner Alchemy from Korea, as for the things in which hyeonbin(玄牝) can be found, the Yonghobigyeol(龍虎秘訣) by Jeong Ryeom(鄭 ), which is known to have been written at the time of the King Myeongjong(明宗) of the Joseon(朝鮮) Dynasty and Jeongsincheolhaktongpyeon(精神哲學通編) by Jeon Byeong-hoon(全秉薰), which was published in the year 1920, catch the eye. Jeong Ryeom(鄭 ) said that, if the 'hyeonbinilgyu(玄牝一竅)' gets obtained, everything can pass through the hundred holes, and this is the beginning of the training. After quoting regarding hyeonbin(玄牝), which was mentioned in the many inner Alchemy writings, Jeon Byeong-hoon(全秉薰) said that it is the hole that trains the mind and the energy. He sees it as the routes through which the real energy is distributed by connecting the hadanjeon(下丹田), the jungdanjeon(中丹田) and the sangdanjeon(上丹田) of the human body.
    In conclusion, regarding the importance and the role of ‘Hyeonbin(玄牝)’, in relation to the inner Alchemy training, they have been recognized similarly. However, we can find out that, regarding the shape and the position is a radial passage that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body, there a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of the inner Alchemy train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