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단’과 ‘-다는’의 관계에 대한 재고찰 - ‘-단’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중심으로 - (Re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n’ and ‘-Daneun’ - Focusing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dan’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5.12
28P 미리보기
‘-단’과 ‘-다는’의 관계에 대한 재고찰 - ‘-단’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71호 / 45 ~ 72페이지
    · 저자명 : 안예리

    초록

    오늘날 사전과 문법서에서는 일반적으로 ‘-단’을 ‘-다는’의 축약형으로 다루고 있지만,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에는 ‘-다는’과 ‘-단’을 본말과 준말의 관계로 볼 수 없다는 것이 본고의 핵심 주장이다. ‘-단’의 용례는 ‘-다는’의 용례보다 400년 이상 앞서 나타나는데, ‘-단’이 ‘-다는’에서 음운 축약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면 시기적으로도 ‘-다는’이 ‘-단’에 선행하든지 적어도 공존하는 양상을 보여야 할 것이다. 15세기 문헌에 나타난 ‘-단’은 종결어미와 속격조사 ‘-ㅅ’이 결합한 ‘-닷’에 기원을 두며, ‘-닷’과 ‘-단’이 공존하다가 근대국어로 오며 ‘-단’의 쓰임이 우세하게 되었다. 이런 형태상의 변화는 ‘-단’의 분포 및 문법적 성격의 변화를 동반하였다. ‘-단’에 후행하는 명사의 종류가 기존의 발화 관련 명사류에서 의존명사 ‘것’, 사람명사, 장소명사 등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비한정절에만 쓰이던 ‘-단’이 17세기 이후로 시제 선어말어미 ‘-ᄂᆞ-’나 ‘-엇-’과 결합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단’이 재구조화를 통해 하나의 어미로 정착해 가는 과정을 보여 준다. 한편 ‘-다는’의 용례는 19세기 말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그 출현이 매우 갑작스럽고 또한 광범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문법화 과정과는 차이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mmon assumption in Korean linguistics studies and dictionaries that '-dan' is a phonological contraction of '-daneun' cannot be supported by historical evidences. The form '-dan' has been used since the 15th century onwards, but that of '-daneun' abruptly came into being in the late 19th century. If '-daneun' is the original form of '-dan', its usage should have preceded or at least co-existed with the use of '-dan.' The form '-dan' originated from '-dat', which consists of final ending '-da' and genetive particle '-t.' During the 15th century, both of '-dat' and '-dan' were used, but from the 16th century '-dat' has gradually fallend into disuse while the use of '-dan' has noticeabely expanded. This morphological shift accompanied grammatical changes; whereas the type of nouns following '-dan' had been limited to speech-related nouns until the 15th century, it has expanded to nouns refering to human, location, and even to bound noun 'geot.' Moreover, '-dan' began to be used in finite clauses from the 17th century combining with tense marker '-na-' or '-eot', while its usage was restricted to nonfinite clauses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is shows that '-dan' has been developed to a single ending through grammatical reconstruction. Meanwhile, the usage of '-daneun' appear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When grammaticalization takes place, it is common that its process is slow and gradual; however, the form '-daneun' suddenly appeared with almost no restriction up to genres or writing sty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1 오후